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시장 안정책’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10년 만에 발생한 금융시장의 공포를 가라앉히기 위해 미 연준이 한국을 비롯해 중국·대만·홍콩·호주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 등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계약으로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 수요 안정을 위해 무역 규모가 큰 이들 국가와의 스와프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연준은 유럽연합(EU)·영국·일본·캐나다·스위스 등 5개국과만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한국은행과 통화스와프를 맺은 뒤 2010년까지 계약을 유지한 바 있다.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한중일 3국이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왕준성 중국 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 전략연구원 연구원은 11일 관영 환구시보에 게재한 논평에서 코로나19를 통해 한중일 3국이 함께 손해를 보고, 함께 번영한다는 현실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면서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3국 간 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목소리는 세계적 재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공조의 중요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우리 정부는 과거 이웃국가의 재난 피해를 지원하는 데 힘을 아끼지 않았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폭발에 따른 위기감이 높아진 가운데 원자로 냉각에 필수적인 원자력 발전용 붕산 52톤을 긴급 요청했고 우리 정부는 지원에 나섰다. 액화천연가스(LNG)의 스와프 요청에 대해서도 일본 전역의 가스화력발전소를 두 달 동안 가동할 수 있는 분량을 공급했다. 민간 차원에서도 대지진 피해 현장에 자원봉사단이 파견된 것은 물론 각종 성금이 잇따랐다. 이에 대해 간 나오토 전 일본 총리는 국내 언론에 특별기고문을 보내 한국은 가장 먼저 긴급구조대를 파견하고 많은 구호물자를 보내줬다면서 거국적이고 따뜻한 지원에 일본 국민을 대표해서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2008년과 2013년에 발생한 중국 쓰촨성 대지진 때도 정부는 민관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구호 손길을 내밀었다. 이 밖에 2010년 아이티 대지진, 2013년 필리핀 태풍,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2015년 네팔 지진 등 대규모 해외 재난이 발생했을 당시 우리 정부는 전문인력을 파견해 구호활동 지원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