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양천구 신정동 일대에서 재개발 사업으로 조성되는 ‘호반써밋 목동’은 애초 2월 분양예정으로 잡혀있었지만 코로나 사태로 3월로 연기됐다.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4월 초로 일정이 바뀌었다. 대전에서 올 3월 분양할 예정이던 유성구 둔곡지구 내 2개 블록 1,228가구는 총선 이후로 미뤄졌다. 건설사 측은 “변경된 일정도 확정적이지는 않다”고 말했다.
청약 시스템 이관으로 1월 분양시장이 멈춘 가운데 정부의 분양가 통제에 코로나 사태까지 겹치면서 2~3월 분양시장이 얼어붙었다. 서울의 경우 실제 분양물량이 계획 대비 5분의 1로 줄었다. 광주와 대전은 분양실적이 ‘0가구’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되고 분양가상한제에 따른 분양가 협의 문제가 원활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공급정체 현상이 지속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4일 본지가 부동산114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올 2~3월 전국에서 민간 아파트 5만 4,757가구가 공급 예정이었지만 실제로는 43.77%에 그친 2만 3,969가구만 분양됐다. 지역별로 보면 경상남도와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는 한 건의 분양도 이뤄지지 않았다. 경남의 경우 애초 2~3월 두 달 간 5,332가구, 광주는 3,911가구, 대전은 2,285가구의 분양이 예정돼 있었다. 경기도는 1만 4,087가구 가운데 8,686가구를 분양해 61.66%의 실적을 보이며 선방했다. 이례적으로 충북과 제주도의 경우 계획대비 더 많은 분양을 기록하기도 했다.
관심을 모은 서울의 경우 계획대비 분양실적이 5분의 1토막 났다. 2~3월에 걸쳐 4,940가구의 분양이 계획됐지만 실제로는 962가구만 선보여 19.47%의 실적을 보였다. 서울의 경우 지방과는 달리 코로나19 뿐 아니라, 분양가 통제 등 정책 리스크가 영향을 미쳤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예로 올 3월 분양을 계획했던 강동구 둔촌주공의 경우 분양가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연기된 상태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 같은 분양 공급 정체 현상이 지속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서울의 경우 상한제 유예기간이 연장됐으나 여전히 정부의 분양가 통제로 인해 분양일정을 잡는 것이 쉽지 않다. 지방은 더 사정이 심각하다. ‘대구 다사역 금호어울림’이나 ‘대구 두류동 센트레빌’ 등은 아예 분양일정을 잡지 못하거나 분양을 무기한 연기한 상태다. 여경희 부동산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은 “지방 분양단지들은 분양이 성공할 수 있는 시기를 찾아 조정을 시도하고 있는데, 만약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면 계속되는 분양 지연으로 인해 사업 수익이 떨어지게 된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