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민주의 勞 향한 '구애'...철도·금융노조 등과 릴레이 협약

대구·인천 등 지역 단위 협약 이어져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4·15 총선 승리를 위한 금융노조 지지 선언 및 정책협약식’에 참석,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인영(왼쪽부터) 원내대표, 조정식 정책위의장, 박홍배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이 위원장./연합뉴스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4·15 총선 승리를 위한 금융노조 지지 선언 및 정책협약식’에 참석,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인영(왼쪽부터) 원내대표, 조정식 정책위의장, 박홍배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이 위원장./연합뉴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총선을 앞두고 철도·금융노조 등과 정책 협약을 맺으며 노동계 표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당장의 선거 승리를 위한 노동계를 향한 구애가 ‘총선 청구서’로 돌아오지나 않을지 우려될 정도다.

이낙연 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은 2일 국회에서 박홍배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과 ‘4·15 총선 승리를 위한 금융노조 지지 선언 및 정책협약식’을 가졌다. 박 위원장은 “이번 총선을 통해 노동존중 국회를 만들기 위해 지난 20대 국회에서 하지 못했던 입법과제를 민주당이 21대 국회에서 해주리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15 총선을 앞두고 새롭게 체결한 정책협약이 금융노조와 민주당이 함께 갈 수 있는 신뢰를 확인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겠다”고 밝혔다. 이에 이 위원장은 “금융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노동존중사회 실현을 앞당기는 노력을 더욱 배가하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금융노조가 민주당에 제안한 정책제안서에는 △노동이사제 도입 △직무성과급제 도입 반대 △제4차 산업혁명시대 금융산업 일자리 확보 △임금피크제 폐지·공공기관 명예퇴직 실시 및 정년 연장 △지방은행 균형발전 방안 모색 △기획재정부 예산편성지침 개선 △금융인공제회 설립 등이 포함됐다.



금융노조는 ‘IBK 기업은행장 낙하산 취임’에 대한 앙금도 드러냈다. 박 위원장은 “지난 2017년 4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금융노조와 민주당이 체결한 정책협약은 아직 유효하다”며 “그중 일부는 지난 기업은행장 낙하산 사태로 확인했듯 지켜지지 않는 것도 있다”고 지적했다. 1월 문재인 대통령이 9년간 이어진 IBK 기업은행의 ‘행장 내부승진’ 관행을 깨고 윤종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을 임명한 사건을 꼬집은 것이다. 금융노조가 당시 공개한 대선 정책협약에는 ‘낙하산 인사를 근절하고 전문성을 가진 인사가 임명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보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여당은 지난달 10일 한국노총과 정책협약을 맺은 데 이어 같은 달 28일 노동존중실천단을 운영하기로 합의하는 등 노동계와 밀착하고 있다. 개별 지역 단위의 연대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9일 인천 교통공사노조가 윤관석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과, 지난 1일 철도노조가 민주당 대구시당과 정책협약식을 가졌다.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