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외교부 "日 '한국 전역 입국거부' 조속 철회 촉구"

"한일 외교국장 협의서 日측 방역 지원 요청 없었어"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3일 0시부터 한국 전역을 입국 거부 대상 지역으로 지정하기로 한 가운데 외교부가 ‘유감’ 표시를 넘어 ‘조속 철회 촉구’에 나섰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사전에 통보를 받는 상황에서 유감을 표명했던 사항”이라며 “우리에 대한 입국금지 사항이 조속히 철회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앞서 지난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한국, 중국, 미국 등 49개 국가·지역 전역을 입국 거부 대상으로 추가하고 3일 0시부터 이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당초 대구와 경북 일부 지역만 입국 거부 대상이었으나 이번에는 전 국토로 확대됐다. 이날 외교부는 이에 대해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는 등 방역 성과가 명확해지는 상황에서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 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 초치된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가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지난달 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 초치된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가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다만 외교부의 이 같은 반응은 지난 3월5일 일본의 첫 입국제한 강화 때 격앙된 반응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수위가 한참 낮은 수준이었다. 지난달 29일 관련 조치에 대해 미리 설명을 했다는 이유에서다.


우리 외교부는 3월5일 일본 정부가 한국인에 대해 입국 시 무비자 입국 금지, 14일 격리 등의 입국 규제 강화 조치를 발표하자 크게 반발했다. 당시에는 이 같은 조치를 사전에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는 게 외교부 측 주장이다.

관련기사



한편 김 대변인은 전날 열린 한일 외교국장 협의에서 일본 측의 코로나19 방역 지원 요청은 없었다는 사실도 밝혔다. 김정한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은 1일 타키자키 시게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화상으로 한일 국장 협의를 갖고 상호 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김 국장은 이 자리에서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한 우리 입장을 재차 강조하고 일본 수출규제 조치의 조속한 철회를 촉구했다. 타키자키 국장은 이들 현안과 관련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김 국장은 특히 지난달 31일 개관한 ‘산업유산 인포메이션 센터’에 대해 일본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로 ‘수많은 한국인이 본인 의사에 반한 채 동원돼 참혹한 여건 하에서 강제로 노역한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는 조치’와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충실히 이행할 것을 요구했다.

김 국장과 타키자키 국장은 이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한 양국 정부의 노력과 각자의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 김 국장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방역을 강화하더라도 인도적 목적의 방문과 우리 기업인의 필수적인 방문 등은 가능하도록 균형을 맞출 필요성을 언급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