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軍 코로나 확진자 적은 이유는]외출·휴가 틀어막아...'과잉' 넘어 '강력' 대응이 비결

60만 군인 집단감염 위험 높지만

사망자 '0'에 누적확진자는 39명

자주 손씻기에 미열만 나도 격리

음압병상 등 軍의료 수준도 개선

지난달 4일 임관식을 마친 신임 간호장교들이 경북 경산시 국군대구병원에서 의료지원 임수수행 전 체온 측정을 하고 있다.   /경산=연합뉴스지난달 4일 임관식을 마친 신임 간호장교들이 경북 경산시 국군대구병원에서 의료지원 임수수행 전 체온 측정을 하고 있다. /경산=연합뉴스



장기화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속에 군 조직은 코로나19의 큰 불길을 이미 잡고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그 대처 방안에 관심이 쏠린다.

3일 국방부에 따르면 군내 누적 확진자는 39명이며 순확진자는 7명이다. 현역 군인을 60만명으로 봤을 때 누적 확진자는 약 0.0065%, 순확진자는 0.0012%다. 특히 사망자 수를 보면 국내 전체적으로는 174명이지만 군내 사망자는 ‘제로’다.

군은 대표적인 집단생활 조직이라는 특성 때문에 코로나19 발생 때 집단감염 위험성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 꼽혔으나 그 같은 우려를 씻어낸 결과인 셈이다.


군 조직에서 이처럼 확진자가 적은 것은 우선 과잉대응의 차원을 넘은 강력한 대응 때문이라고 평가된다. 지난해 말 코로나19가 확산되자 국방부는 이를 예의주시했고 올해 초 본격적으로 모든 장병의 이동과 외출·외박·휴가 등을 통제했다. 더 나아가 지난달부터는 모든 장병의 회식 등 단체행사 참석도 전면 금지했다.





또 군내 강력한 위생관리 시스템도 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하는 데 한몫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모든 장병의 의무적인 마스크 착용은 물론 수시로 손 씻기와 손소독제 사용 등을 적극 시행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수준이 높아진 군내 의료 시스템도 감염 확산을 막아낸 일등공신이다. 현재 군에서는 미열 혹은 지속적인 기침 현상만 있어도 즉시 격리에 들어가고 수시로 군 의료진이 해당 장병의 상태를 주시한다. 이때 코로나19 확진 판정이 나오면 곧바로 음압병상이 있는 군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5,000만명과 현역 군인 60만명은 수치상으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비교하는 데는 수학적으로 약간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60만명 가운데 누적 확진자가 39명에 불과하다는 것은 확실히 군이 대응을 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의료계 관계자는 “수십년 전만 해도 군대에서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등 과거 군대는 감염병에 취약했지만 현재는 달라졌다”며 “군대에서 재채기를 하면 비염인지 감기인지 정확한 진단 없이 감기약만 처방했던 예전과는 달리 요즘은 체계적인 진료·처방을 하고 있어 감염병에도 잘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의료계 관계자는 “늦장대응보다는 과잉대응이 나은데,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국방부의 조치를 보면 과잉대응을 넘어 매우 강력한 대응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 감염병 매뉴얼을 수정한다면 이번 국방부의 대응 사례를 참조할 만하다”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