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S머니] 코로나도 비켜간 신축불패? 양주 옥정도 미분양 '완판'

청약열기 미분양 시장에 영향

평택은 물량 절반 이상 털어내

원주·청주·포항도 빠르게 소진

코로나로 경기침체 장기화 땐

지방 아파트부터 타격 받을듯

0415A14 전국 미분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쇼크에 대출규제 등으로 서울 집값이 약보합세로 돌아섰지만 새 아파트 청약시장은 여전히 인기를 누리고 있다. ‘신축 불패’를 증명하듯 분양가가 제법 높게 책정된 단지에도 적지 않은 인파가 몰리고 있는 것이 요즘 청약시장 모습이다. 청약열기는 미분양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검단신도시에 이어 경기 양주 옥정신도시도 미분양 ‘0가구’ 대열에 합류했다. 지난해부터 기존 주택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강원도 원주 등 지방에서도 미분양 물량은 빠르게 소화되고 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전국 미분양이 무려 16만5,000가구에 달하며 시장 침체를 더욱 가속화시킨 바 있다. 올 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은 3만9,000여가구로 4만가구 이하로 떨어진 상태다.

◇양주 옥정신도시도 미분양 ‘제로’=서울경제가 국토교통부 시도별 미분양 현황과 지자체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최근 양주 옥정신도시에서 미분양 물량이 전부 소화됐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2월 말까지 ‘대방 노블랜드 2차 프레스티지’에서 28가구가 팔리지 않고 남아 있었는데 최근 주인을 찾았다. 양주시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이 1,142가구에 달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해 말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한 곳이다.

미분양이 많았던 평택시도 비슷하다. 2월 말 기준 평택시의 미분양 물량은 732가구로 지난해 11월 말(1,619가구) 대비 절반 이상 줄었다. 화성시 또한 같은 기간 823가구에서 135가구로 미분양 물량을 크게 줄였다. 12·16대책에 이어 2·20대책 등 연이은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 집값 억제 정책의 부작용으로 비규제지역에서 풍선효과가 발생하며 새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면서 미분양 물량이 해소됐다는 것이 시장의 평가다. 인천 서구 또한 한때 검단신도시에 미분양 물량이 2,607가구에 달하면서 미분양관리지역에 선정됐다. 하지만 최근 미분양 물량을 모두 털면서 오명을 씻어냈다.


지방 미분양 물량도 인기다. 우선 미분양관리지역인 강원 원주시와 충북 청주시는 각각 지난해 11월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이 각각 2,701가구, 1,292가구에 달했다. 하지만 2월 말 기준 이들 지역의 미분양 가구 수는 각각 384가구, 162가구까지 감소했다. 2017년 미분양 물량이 2,000가구를 훌쩍 넘기던 경북 포항도 최근 빠르게 미분양을 해소해 258가구까지 줄어들었다. 대다수 지방 지역에서 미분양 물량이 감소했다. 미분양 물량 감소에는 신축불패 현상이 한몫을 하고 있다. 한 예로 지방 8개도 지역의 경우 올 들어 3월 말까지 준공 5년 이하 새 아파트값이 1.77% 올라 다른 연식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관련기사





◇코로나19 악재, ‘신축불패’ 깨뜨릴까=그렇다면 이 같은 신축불패 현상은 지속될 수 있을까. 통계기간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3월 말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값은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국 아파트값 상승 폭도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3월 새 아파트 청약시장은 현재까지는 기존 주택과 달리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활황을 이어가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기존 주택시장 침체, 청약 미달 속출, 미분양 대규모 증가 등의 고리를 만들어낸 바 있다. 실제로 2008년 말 기준으로 전국 미분양 물량은 16만5,599가구까지 치솟아 통계 작성 이래 제일 높았다. 흔히 ‘악성 미분양’이라 일컬어지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 또한 4만6,476가구였다.

일단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여파가 지속될 경우 신축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 신축 아파트 가격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특히 지방 아파트 시장의 경우 경기침체시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 또한 “서울 및 수도권 접경지역 신축의 경우 크게 떨어지지는 않겠지만 그 외 지역의 경우 경기침체에 따른 타격이 클 수 있다”고 전했다.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