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기업 살리되 한계기업은 솎아내야

<포스트 코로나19 - 2.구조조정 태풍 온다>

실물 셧다운에 기업 줄도산 위기

디지털전환發 산업재편도 불가피

기업 지원, 옥석 가려 선택과 집중

건전한 성장·체질개선 유도 필요




“코로나19에 따른 가장 큰 후폭풍은 기업 구조조정이 될 것입니다. 기업 도산과 매각, 자산 및 인력 조정 등이 쓰나미처럼 몰려올 것입니다.” (익명을 원한 한 은행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 실물경제 및 금융에 충격을 주면서 기업 구조조정의 태풍이 몰려오고 있다. 바이러스의 습격에 공급체인이 무너지며 수요마저 급감하자 기업들이 줄도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진정된다고 해도 비접촉·비대면의 디지털경제 전환이 급물살을 타면서 기업 구조조정의 태풍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도산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SK·롯데·CJ·두산 등 대기업들도 이미 점포 및 인력 감축, 부동산·계열사 매각, 사업 전환 등에 박차를 가하며 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에 금융회사와 유통·소비재 업체들은 코로나19 사태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지만 그 이후에도 비접촉 판매 및 상담, 인터넷과 모바일 이용 확대가 지속될 상황에 맞춰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준비하고 있다.

관련기사



강인수 숙명여대 교수는 “지금은 총선이 코앞이라 구조조정 얘기들을 안 하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면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정부의 지원예산도 한계가 있고 중장기적인 산업경쟁력까지 고려하면 어느 정도의 정리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도태될 부분은 도태돼야 경제의 신진대사도 원활해진다”며 “그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사회안전망으로 도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코로나19발 경제위기 속에 대량실업 사태를 막으려면 정부와 금융당국의 적극적 지원이 필수적이지만 영업이익으로 은행 이자조차 못 갚는 ‘좀비기업’까지 무분별하게 살려 정작 필요한 지원과 구조조정을 통한 건전한 성장까지 막아서는 곤란하다는 지적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로 일시적 타격을 입은 기업의 유동성은 적극 도와줘야 하지만 쌍용차처럼 이전부터 ‘한계기업’이던 업체들까지 지원하면 시장에 어떠한 원칙도 세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손철·김상훈기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