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펫팸족(펫과 패밀리의 합성어)’은 1년 중 8월과 9월에 반려동물 관련 웹사이트를 가장 많이 찾는다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온라인 반려동물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분석 결과가 업계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NHN ACE(대표 정연훈·이진수)는 14일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 ‘인사이트 리포트’를 통해 국내 반려동물 관련 웹사이트 52개의 페이지뷰(PV)와 키워드 유입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을 공개했다. 지난 한 해 반려동물 용품 및 입양·분양 웹사이트의 페이지뷰 1억5,000만여 건을 분석한 결과, 8월과 9월에 가장 많은 유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이 가장 적은 시기는 1분기(1~3월)로, 2분기부터는 점차 유입이 증가해 8월에 정점을 찍는 형태다.
사람들은 평일에는 반려동물 용품 사이트를, 주말에는 입양·분양 사이트를 찾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8~9월 요일별 유입 비중을 살펴보면 용품 사이트는 월요일이 가장 높았고, 이어 평일 요일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입양·분양 사이트는 일요일과 토요일의 유입이 두드러졌다.
키우는 동물에 따라 관심 품목도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강아지’, ‘고양이’ 키워드와 조합된 유입 단어를 분석한 결과, 강아지와 조합된 키워드는 ‘가방’이 가장 많았고 간식, 방석, 옷, 슬링백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고양이는 ‘사료’ 키워드와 함께 유입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캣타워, 간식, 모래, 화장실, 집 등이 뒤를 따랐다. 외출이 잦은 반려견과 대부분 실내 생활을 하는 반려묘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다.
입양 시에는 중소형견과 단모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양·분양 사이트의 강아지 품종 키워드 유입 비중은 ‘푸들(18%)’, ‘포메라니안(17%)’, ‘비숑프리제(15%)’ 순이었다. 중대형견 가운데는 ‘시바’와 ‘웰시코기’, ‘골든 레트리버’가 각각 6~7%를 차지했다. 고양이 품종 키워드는 ‘먼치킨(20%)’로 가장 많았고, ‘뱅골(14%)’, ‘러시안블루(14%)’, ‘스코티쉬폴드(13%)’ 등 털이 단모종들이 뒤를 이었다.
NHN ACE 측은 “코로나19로 반려동물과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펫팸족들의 온라인 소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며 “특히 지난해 2분기부터 관련 웹사이트의 유입이 증가한 점에 비춰보면 마케팅 전략의 변화를 고려해봐도 좋을 시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