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항공사 자금줄' ABS, 신용등급 줄줄이 강등

한신평, 대한항공 A→A-, 아시아나 BBB+→BBB로

항공사들의 매출담보 자산유동화증권(ABS)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며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신용평가사들이 ABS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며 조기상환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14일 대한항공(003490)의 ABS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아시아나항공(020560)은 ‘BBB+’에서 ‘BBB’로 각각 한 단계씩 하향 조정했다. 한신평은 “코로나19 확산으로 항공사들의 ABS 신탁원본 회수실적이 심각한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다”며 “회수실적 저하는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회복 시점 및 속도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항공운임채권 ABS는 항공권 판매로 미래에 발생할 매출을 담보로 하는 채권이다. 항공사들의 주요 자금조달 수단이었던 만큼 조기상환 요구 시 유동성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지난달 항공사들의 ABS 회수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대한항공은 68~84%, 아시아나항공은 42~99% 감소했다. 3월 말 기준으로 대한항공이 갚아야 할 ABS 잔액은 1조3,200억원, 아시아나항공은 7,088억원이다.

관련기사



한신평에 이어 한국기업평가·나이스신용평가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ABS의 신용등급 하향을 검토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상대적으로 신용평가 등급이 높아 조기지급 트리거 작동까지 여유가 있지만 아시아나항공은 한 단계 하락할 경우 투기등급으로 분류돼 심각한 자금경색 위기에 처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