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학원·병원·주유소 등 50여만개 업소서 사용 가능

경기가 재난기본소득 사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사용처를 자세히 소개했다.

이는 지난 9일부터 시작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온라인 신청이 시작된 지 1주일이 지나면서 카드 승인이 떨어져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 승인 완료 문자를 받은 도민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을 맘껏 사용할 수 있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흔히 음식점과 전통시장 외에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을 사용할 수 있는 곳을 소개 했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의 사용처는 기존 지역화폐 사용처와 같이 주민등록 주소지 시·군에 있는 연매출 10억원 이하 업소다. 다만 대형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유흥업종 및 사행성 업소, 프랜차이즈 직영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기준만 충족한다면 사실상 일반 IC카드로 결제 가능한 모든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경기도에는 270여개 업종에 50여만 개 업소가 이에 해당한다.

프랜차이즈라 하더라도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도가 올해 1~3월말까지 카드형 지역화폐의 업종별 결제현황을 보면 결제액이 가장 많은 곳은 단연 일반휴게음식점으로 546억1,000만원이 결제됐으며 전체 사용액의 32.8%를 차지한다. 지역화폐 결제액의 3분의 1은 음식점에서 쓰인 셈이다.

관련기사



그 다음은 슈퍼마켓·편의점(가맹점)·농축협직영매장 등 유통업으로 전체의 16.4%인 273억2,000만원이 결제됐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은 의료·건강 관련 업종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병원·피부과·한의원·한방병원 등 병·의원과 약국·한약방·산후조리원에서 결제 가능하며 홍삼제품 등 건강식품 전문점에서도 쓸 수 있다.

문화·레저·여행 업종에서도 쓸 곳이 많다.

헬스장·당구장·볼링장 등 레저업소와 스포츠용품·악기점 등 레저용품점, 영화관·애완동물·화랑 등 취미 관련 업소에서 사용 가능하다. 호텔·콘도·펜션 등 숙박업과 철도·택시·고속버스 등을 이용할 때도 결제할 수 있다.

학원과 서적·문구·완구점·가방·시계·귀금속·신발 등 신변잡화, 의류·미용실·안경원·각종 회원제 업소에서도 결제 가능하다.

이밖에 가구와 가전제품·컴퓨터·보일러·페인트·조명·타일·커튼·침구·식기와 세탁소 및 각종 수리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주유소·충전소·자동차정비·부품·세차장과 중고차·이륜차 판매업소, 부동산 중개 등 용역서비스에서도 쓸 수 있다.

한편 최근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을 한 가게에서 다 쓰면 안 된다”, “먹을 것만 사야 한다”, “미용실 및 사우나에서 쓰면 벌금이 백만원이 넘는다” 등의 잘못된 정보가 떠돌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