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인터뷰] 김세훈 어썸레이 대표 "차세대 X선 시장 이끌 '소부장'스타트업 될 것"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섬유

세계 유일 생산·상용화 기술 보유

필터·팬 없는 공기정화기 첫 개발

"정수·살균장치 등도 개발 나설것"

김세훈 어썸레이 대표가 자체개발한 초소형 X선 튜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어썸레이김세훈 어썸레이 대표가 자체개발한 초소형 X선 튜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어썸레이



“원하는 대로 에너지 조절이 가능한 차세대 X선은 공기정화 등 일상생활에 이롭게 쓰일 수 있습니다. 차세대 X선의 소재·부품·장비를 모두 만들 수 있는 독자기술로 이 분야에서 최고의 ‘소부장’ 스타트업이 될 것입니다.”

X선 기술 스타트업 어썸레이의 김세훈(사진) 대표는 16일 서울경제와 만나 “첨단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 섬유 생산기술과 이를 상업화하는 응용기술을 개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어썸레이는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에서 실을 뽑아내는 기술과 이 실을 적용한 X선 발생장치로 공기정화기 등을 만드는 상용화 기술을 모두 보유한 세계 유일의 스타트업이다. 탄소나노튜브는 나노미터(㎚·10억분의1m) 크기의 6각형 탄소구조체다. 가벼우면서 강도가 세고 구리를 대체할 만큼 전도율이 좋은 신소재지만 그동안 기업·연구실에서 가루 형태로 만들어내는 데 그쳤다. 어썸레이는 이를 섬유로 뽑아내는 데 성공했다.

김세훈 어썸레이 대표가 자체개발한 초소형 X선 튜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어썸레이김세훈 어썸레이 대표가 자체개발한 초소형 X선 튜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어썸레이


김 대표는 “실로 뽑는 양이 처음에는 분당 5m 수준에서 현재 분당 20m까지 발전했다”며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상업적 양산체계를 갖춘 것도 우리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이 섬유로 X선 관에 들어가는 필라멘트를 대체하면 X선 세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어썸레이는 탄소나노튜브 섬유가 들어가 에너지 조절이 가능한 소형 X선 관(튜브)도 개발했다. 그는 “병원용 X선 기기는 보통 전압이 100㎸ 이상인데 차세대 섬유를 이용한 장치는 5㎸ 이하로 낮출 수 있다”며 “이 기술을 이용하면 오염물질을 이온화하는 공기정화기, 소형 X선 의료기기, 보안·검사장비 등 응용 분야가 넓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어썸레이의 첫 상용화 분야는 공기정화기다. 출력을 낮춘 X선의 일종인 극자외선(EUV)을 집진판에 쏘면 먼지가 달라붙는 원리다. 필터나 팬이 없어도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게 강점이다. 지난해 말 서울 양재동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본사 한 층에 정화시설을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연내 공공기관·자산운용사 등 10여군데에 장치를 공급할 계획이다. 그는 “내부의 탁한 공기는 물론 외부의 미세먼지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해 공기 질 인증을 받아야 하는 건물 운용업체들의 문의가 늘고 있다”며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정수·살균장치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재료공학 박사인 김 대표는 같은 대학 나노소재전공 박사 4명과 함께 지난 2018년 어썸레이를 세웠다. 나노와 X선 모두 정통해 이미 대학 실험실에서 기술개발에 성공한 연구인력과 20년 이상 X선 장비 제조 분야 전문가들이 어썸레이의 맨파워다. 이 회사는 소재·부품 특허를 국내에서 7건, 미국에서 1건 완료했으며 연내 8건을 추가로 출원할 예정이다.

당분간 공기정화기와 고부가 배터리 생산에 집중하겠다는 김 대표는 “본격적으로 소재를 공급할 계획은 없지만 분당 ㎞ 수준의 탄소나노튜브 고속방사 역량을 갖춘다면 향후 섬유 사업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상에 도움이 되는 X선 도구를 만들 것”이라며 “대학연구실에서 일궈낸 성과가 기술 사업화로 이어진 모범 사례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