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출 절벽' 떨어지고 나서야…車업계 사정 듣겠다는 정부

산업부, 21일 간담회 열기로

완성차 해외실적 이미 비상등

업계 '30조 지원책' 요구 나서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수요 절벽을 겪고 있는 자동차 업계와 만나 지원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1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자동차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한국GM·르노삼성·쌍용 등 국내 완성차 5개사 대표들이 참석할 계획이다.


정부는 자동차·부품업계의 요청사항을 파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조만간 지원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대책이나 발표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며 “업계 요구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부의 지원책 검토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급감하는 등 자동차 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지만 대응이 너무 늦다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달 5개 완성차 업체의 해외 판매는 44만 6,801대로 전년 동월(56만4,209대) 보다 20.8% 감소하며 이미 비상등이 켜진지 오래됐다. 이달 들어 코로나19가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 수출국에서 확산하고 있어 판매 실적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자동차산업협회 등은 글로벌 수요절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30조원 규모의 지원을 정부에 적극 요청해왔다. 구체적으로 1차~3차 협력사들의 납품대금용 기업어음의 국책금융기관 매입(7조2,000억원),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채권(P-CBO) 매입 규모 확대(1조원), 완성차 및 자동차 관련 유동성 공급지원(7조원), 자동차 수출금융 지원정책 마련(15조2,000억원) 등이다. 김태년 자동차산업협회 운영위원장은 “미국, 유럽 등 해외시장의 감염병 확산으로 4월부터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수요급감 쇼크가 닥칠 것으로 예상된다” 며 “공공기관 차량구매 확대나 친환경차 보조금 강화, 취득세·개별소비세 감면 등을 통해 내수부터 회복되게 하는 정책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