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종인 ‘무기한 전권’ 요구에…통합당 당선자들 "차라리 당 해체"

'김종인 비대위' 싸고 반발 고조

홍준표 "당을 너무 얕보는 처사"

조해진 "정치적 금치산자 선언"

이날 심재철-김종인 회동 불발

미래통합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심재철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로 출근하던 중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미래통합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심재철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로 출근하던 중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영입을 추진하고 있는 김종인 전 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의 ‘무기한 전권(全權)’ 요구에 대해 일부 통합당 당선자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유승민계’로 분류되는 조해진 당선자(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는 물론 당초 ‘김종인 비대위’ 출범에 찬성했던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대구 수성을 당선자)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 결정과 그 결정 방식, 김 전 위원장의 무기한 전권 요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 과정에서 “그럴 바에는 차라리 헤쳐 모여 하는 것이…” “요구 수용은 곧 정치적 금치산자 선언” 등의 가시 돋친 발언도 흘러나왔다. 김종인 비대위가 출범하더라도 내홍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21대 총선으로 3선이 된 조 당선자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외부 인사들로 비대위를 구성하겠다는 것은 당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는 선언”이라며 “당이 자주적 역량이 없어서 식민통치를 자청하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선자들의 절반을 차지하는 초선 의원들은 무슨 죄가 있어 출발부터 비정상의 딱지를 붙이고 시작해야 하나”며 “‘외부 비대위’ 구성은 당의 실질적 주체가 돼야 할 국회의원들을 정치적 금치산자로 규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은 전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비대위원장직 수락 조건과 관련해 “비대위원장에게는 기한 없는, 다음 대선을 (잘) 치를 수 있는 토대까지 마련할 수 있는 전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 전 위원장의 이런 입장에 앞서 지난 17일 비대위원장으로 김 전 위원장이 적격하다는 의사를 밝혔던 홍 전 대표도 등을 돌렸다. 홍 전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아무리 당이 망가졌기로서니 기한 없는 무제한 권한을 달라고 하는 것은 당을 너무 얕보는 처사가 아닌가”라고 적었다. 이어 “차라리 헤쳐 모여 하는 것이 바른길이 아니겠는가”라며 “최소한의 자존심마저 버릴 때는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발언에 대해 김 전 위원장이 대선 후보 선정까지 관여할 뜻을 내비친 데 대한 반감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이날 재선의원 15명이 김종인 비대위 출범에 찬성하면서 당내 의견은 엇갈리는 상황이다.

한편 이날 비대위원장직을 제안하기 위해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과 김 전 위원장이 만날 예정이었지만 불발됐다. 두 사람은 전화통화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