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인위적 대선후보 만들기로 수권정당 될 수 없다

4·15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이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하려 하고 있다. 제1야당이 쇄신을 통해 수권정당이 되고 견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필요하다. 하지만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한 김 전 위원장이 권위주의적이고 독선적 발상을 드러낸 것은 당 혁신에 어긋나는 처사다. 김 전 위원장이 언론 인터뷰에서 ‘1970년대생 경제통을 대선후보로 만들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은 비민주적 발상의 대표적 사례다. 그는 “지난 대선에 출마한 사람들의 시효는 끝났다”면서 세대교체를 역설했다. ‘여의도 차르’로 불리는 그가 내년 상반기까지 비대위원장을 맡아 전제군주처럼 인위적으로 대선후보를 만드는 ‘킹메이커’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노골적으로 밝힌 셈이다.


보수 야권은 뼈저리게 반성하고 혁명적으로 변화해야 생존할 수 있다. 그런데 총선에서 낙선한 심재철 원내대표 등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민주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비대위원장 추대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것은 잘못됐다. 게다가 대선후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면 당내 민주주의에도 어긋날 뿐 아니라 정권교체도 이룰 수 없다.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나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자발적으로 새로운 노선을 제시하면서 세대교체 바람을 일으키고 정권교체를 성공시켰다.

관련기사



또 야당을 재건하려면 무엇보다 도덕성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동화은행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적이 있는 김 전 위원장이 ‘개혁 전도사’로 포장해 야당 당수로 나서면 여당을 견제할 수 없다. 그는 여야의 여러 정당들을 넘나들면서 정당정치 원칙까지 훼손했다. 가장 위험한 점은 김 전 위원장이 최근 권력분산 개헌을 외치는 점이다. 그가 여권의 개헌 논의 제안에 응해 야권이 개헌파와 반(反)개헌파로 분열될 경우 견제와 균형의 정치는 완전히 무너지게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