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고층건물 관리하고, 실종자 찾는 '5G 드론' 나온다

과기정통부 2024년까지 기술개발키로

480억 투입...ETRI컨소시엄이 주관

구조물-수자원-스마트팜-경찰에 활용

비가시권 비행허용 등 규제개선도 협의

고층건물용 5G 드론 운요 개념도.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고층건물이나 교량 등의 주위를 드론들이 비행하며 관측한 고화질 영상자료 등을 5G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건물, 교량의 결함과 붕괴위험 등을 분석해 대응한다. /자료제공=과기정통부고층건물용 5G 드론 운요 개념도.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고층건물이나 교량 등의 주위를 드론들이 비행하며 관측한 고화질 영상자료 등을 5G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건물, 교량의 결함과 붕괴위험 등을 분석해 대응한다. /자료제공=과기정통부



인공지능 무인비행체(AI 비행 드론)들이 무리 지어 날아 고층건물을 관리하고 실종자를 찾으며 수질오염을 감시하는 시대가 이르면 4년 뒤부터 열린다. 이를 위한 기술개발과 더불어 규제개선 협의가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기술 구현을 목표로 새로운 드론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사업명은 ‘DNA+ 드론기술개발사업’이며 총 48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드론과 데이터,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 인공지능(AI)기술을 접목한 신규 드론서비스 모델을 창출하겠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사업주관자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컨소시엄이 해당 컨소시엄에는 ETRI를 비롯한 3개 공공연구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를 포함한 3개 대학, KT, LG유플러스, 19개 기업이 참여했다. 이중 19개 기업은 드론제작사와 인공지능(AI)전문기업 아크릴 등으로 구성됐다. 컨소시엄은 5G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한 임무데이터를 AI 학습·추론 기술로 분석하고, 비가시권 자율·군집 비행 기술이 적용된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관련기사



실종자 수색 5G드론 운용 개념도. 수십대의 드론들이 떼지어 날으면서 찍은 고화질의 영상자료를 5G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면 AI가 이를 지형데이터 등과 융합해 수색결과를 분석하고 상황정보를 경찰 등에 제공한다. /자료제공=과기정통부실종자 수색 5G드론 운용 개념도. 수십대의 드론들이 떼지어 날으면서 찍은 고화질의 영상자료를 5G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면 AI가 이를 지형데이터 등과 융합해 수색결과를 분석하고 상황정보를 경찰 등에 제공한다. /자료제공=과기정통부


컨소시엄은 특히 폴리스 드론(실종자 수색 및 순찰), 수자원 드론(국지 홍수 및 수질오염 감시 등), 스마트 팜드론(인공지능 정밀방제 및 생육관리), 구조물 드론(셀타워 및 고층 구조물 관리) 등 4개의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 실증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이 보유한 데이터(위성·항공·공간)와 연계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센서 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화를 추진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또한 5G 접목을 위해 통신전파가 닫지 않는 음영지역 극복용 스몰셀 기술이 적용된다. 항공안전기술원의 5G 드론 비행시험장 등에서 통신망 연계 드론 운용 실증 작업이 이뤄진다. 5G 드론운용을 위한 임무 관제 플랫폼 구축작업도 병행된다. 드론의 AI기반 자율비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모델별 맞춤형 AI모듈과 분산학습이 개발된다. 아울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 고성능 가속기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동객체 인식·추적 엣지 AI 등이 차세대 기술이 개발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개발 성과의 조기상용화를 위한 관계부처(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 등) 협의를 통해 선제적 규제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특히 비가시권 드론 비행을 허용하고, 드론을 통한 데이터의 획득 및 공유·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 협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컨소시엄은 서비스모델간 경쟁형 실증작업, 챌린지대회를 통한 성과물(데이터, 인공지능 모듈)의 사전공개도 추진한다.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래 드론 시장 선점을 위해 기체 제작 위주 국내 드론 산업을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고, 특히 5G, 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ICT)과의 융합이 중요하다”고 “든든한 조력자의 역할을 다하겠다.” 라고 밝혔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