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블룸버그와 미래에셋자산운용 등에 따르면 미래에셋 측은 지난 17일 안방보험 측에 “실사 기간 중 호텔 매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도인 측과 제3자 간 소송을 발견하고 자료를 요구했으나 안방보험 측이 응하지 않았다”며 “5월2일까지 계약위반 사항을 해소하지 않을 경우 매매계약서를 해지할 권리가 발생한다”고 통지했다. 이에 안방보험이 27일(현지시간) 미국 법원에 미래에셋 측의 계약이행 완료를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 지난해 9월 미래에셋그룹은 안방보험이 소유한 미국 내 15개 호텔을 58억달러(약 7조1,000억원)에 매입하기로 하고 계약금 약 7,000억원을 지불했으나 코로나19로 예정대로 매매가 진행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번 딜은 국내 자본의 해외부동산 투자 중 가장 큰 규모라는 점에서 그동안 관심을 모아왔다.
7조원짜리 미국 호텔 ‘메가딜’을 놓고 매도자인 중국 안방보험과 매수자인 미래에셋금융그룹이 법적 분쟁에 돌입하면서 매각의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8월 미래에셋금융그룹이 쟁쟁한 글로벌 투자자들을 물리치고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면서 주목을 받았으나 부동산 등기 문제로 인한 이런 저런 잡음으로 지난해 9월 맺은 계약대로 딜이 진행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제기돼왔다. 게다가 올해 초 예기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미국 내 호텔산업이 사실상 붕괴한 상태에서 양측의 법적 분쟁으로 매각이 장기 표류하고 결국 무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28일 블룸버그와 미래에셋자산운용 등에 따르면 미래에셋 측은 지난 17일 안방보험 측에 “실사 기간 중에 호텔 매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도인 측과 제3자 간 소송을 발견하고 그동안 소명자료 제출 요구를 했으나 답이 없었다”며 “5월 2일까지 계약 위반 사항을 해소하지 않을 경우 매매계약서를 해지할 권리가 발생한다”며 계약 해지 예고 통지를 했다. 이에 안방보험이 현지시간으로 27일 미국 법원에 미래에셋 측에 계약 이행의 완료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미래에셋 측의 요구에 안방보험 측이 소송으로 응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9월 미래에셋그룹은 안방보험이 소유한 미국 내 15개 호텔을 58억달러(약 7조1,000억원)에 매입하기로 하고 계약금 약 7,000억원을 지불했다. 이 호텔은 뉴욕의 JW메리어트 에식스 하우스 호텔, 와이오밍 잭슨홀의 포시즌스 호텔, 샌프란시스코의 웨스틴 호텔, 실리콘밸리의 포시즌스 호텔 등 최고급 호텔이다. 잔금 납입 및 소유권 이전은 4월17일로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돌발변수가 생겼다.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으로 급기야 미국의 셧다운이 시작됐고 호텔업이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자 미래에셋 측은 그동안 안방보험에 잔금 지급 시기와 가격 조정을 요청하며 협의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안방보험에 제3자 간 소송 문제 해결도 요구해왔다. 이는 앞서 15개 중 6개 호텔에 대한 등기권리가 넘어간 사기행각과는 별개의 사건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인수 계약 완료를 위해서는 매도자 측이 소송과 관련한 선행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매매계약서상 매도인의 위반사항이 발생했다”며 “안방보험이 주장하는 것처럼 자금조달에 문제가 생겨 계약 이행을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등기 권리를 보장해주는 권원보험사가 안방보험과 제3자간 소송으로 인한 결과는 보장을 못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미래에셋으로서는 현상대로 매매를 진행할 수 없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양측이 법적 분쟁에 돌입하면서 매각이 장기 표류하는 것은 물론이고 매각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안방보험 측이 미래에셋의 요구대로 계약위반 사항을 해결한다 하더라도 코로나19로 인한 관광산업의 타격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코로나19 이전 시대’인 지난해 9월 기준의 가격은 너무 높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력 자금줄을 담당한 미래에셋대우가 아시아나 인수, 마중가 타워 매입 등으로 인해 자본 여력이 빡빡한 상황인 점도 큰 부담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최근 신용평가사들로부터 부정적인 신용등급전망을 받기도 했다. 미래에셋 측은 호텔들을 사들여 다른 기관투자가들에 나눠 재매각(셀다운)할 예정이었으나 워낙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돼 있어 이마저 여의치 않다. 총 7조원이 넘는 호텔 매입 대금 중 미래에셋대우가 약 1조8,000억원, 미래에셋생명이 5,000억원,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1,900억원을 투자하고, 나머지 4조 5,000억원은 브리지론으로 조달할 방침이었다.
미래에셋그룹은 안방보험에서 먼저 소송을 제기한 만큼 미래에셋에서도 안방보험의 제3자 간 소송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계약해지 통보 이후 채무부존재 및 계약금 반환 등의 맞소송을 통해 대응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 미래에셋 측이 최악의 경우 매수를 포기한다 하더라도 예상하지 못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중대한 사정변경이 생긴 만큼 7,000억원의 계약금을 전액을 몰취당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호텔업 정상화가 언제 가능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미래에셋그룹이 기존 계약대로 미국 호텔들을 인수했다가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에 휩싸일 수도 있다”며 “코로나19 사태의 극적인 반전이 있거나 대대적인 매각 조건 조정이 없는 한 미래에셋이 인수를 강행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