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6·25전쟁 참전용사들 꼭 집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국방부, 美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유해발굴 전문기관 세워

국토개발 등으로 전투현장 훼손, 유해발굴 어려움 많아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1만2,000여구 유해 발굴 성과

“호국용사 마지막 한 분까지 모시는 날까지 최선 노력”

지난해 6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강원도 춘천 봉화산에서 유해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유단지난해 6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강원도 춘천 봉화산에서 유해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유단



세계 전쟁사에서 여러 기록을 남긴 6·25전쟁이 휴전한지 67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집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참전군인들이 있다. 바로 전사자 가운데 아직 유해가 수습되지 않았거나 유해는 찾았지만 신원이 확인 안 된 이들이다.

한반도 어느 산야에 묻혀 있을 국군의 유해를 찾아 유가족에게 보내주는 임무를 수행하는 곳이 있다. 바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이다.


지난 2007년 창단된 국유단은 미국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유해발굴 전문기관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해발굴 전문기관이 있는 곳은 한국과 미국 두 나라 뿐이다.

올해로 창단 13주년을 맞은 국유단은 지난 2000년에 실시된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이 전신이다.

국방부는 “정부가 한시적 사업으로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을 했고 여기에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이 있었는데 당시 유해발굴 작업은 육군본부가 주관을 했다”며 “한시적 계획으로 시작한 유해발굴은 유가족을 비롯한 국민들의 큰 호응에 힘입어 정부는 이를 영구사업으로 추진키로 하고 사업 주체를 육군에서 국방부로 이관시키면서 2007년 국유단을 창단했다”고 설명했다.



70년 가까이 한반도의 어느 산야에 묻혀 있는 전사자 유해를 찾아내기란 결코 쉽지 않다. 유해발굴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은 한 두가지가 아니다.

국유단에 따르면 우선 전사자에 대한 관련 자료가 부족해 매장위치를 식별하는 것부터 쉽지 않다. 이 때문에 6·25전쟁을 겪은 지역주민과 생존 참전용사의 증언에 의존해야 하지만 이들 대부분이 고령화 돼 기억의 정확성이 낮다.

국토개발에 따른 지형변화로 전투현장이 많이 훼손된 점도 유해발굴의 어려움 중 하나다. 국유단 관계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전투현장의 훼손은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유해발굴 작업은 시간과의 싸움이라고도 할 수 있다”며 “올해부터 향후 5년간이 사업의 성패를 가른다고 할 만큼 매우 중요한 시기다”고 전했다.

유해발굴의 단계는 우선 전투기록 분석과 지역주민·참전용사의 증언을 바탕으로 발굴가능 지역을 결정한다.

이후 현장에 국유단 장병들이 투입돼 발굴작업을 진행한다. 유해를 찾으면 정성과 예를 다해 수습을 하고 오동나무로 제작한 관에 담아 태극기로 관포를 한다. 이렇게 수습된 유해에 대해서는 발굴지역 군부대의 장성급 지휘관 주관으로 영결식을 거행한다.


영결식을 마치면 유전자(DNA) 검사 등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본격적인 감식에 들어가게 된다.



감식 된 유해는 국군 전사자와 연합군(UN군), 적군(북한군·중국군)으로 나눈다. 신원이 확인된 국군 유해는 유가족에게 통보한 뒤 현충원에 안장하고 신원미확인 유해는 국유단의 국선제(國宣悌)라는 유해보관소에서 보관을 한다. 신원이 확인 된 국군 유해 중 유품이 있을 경우 유가족에게 전달한다.

연합군 유해는 해당 국가에 인계하게 된다. 적군의 경우 북한군은 경기도 파주에 있는 적군묘지에 안장하고 중국군은 중국정부에 인계한다.

지난해 12월 3일 강원 화천군 실내체육관에서 육군 2군단 장병들이 6·25 전사자 발굴 유해 합동영결식을 거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육군 2군단지난해 12월 3일 강원 화천군 실내체육관에서 육군 2군단 장병들이 6·25 전사자 발굴 유해 합동영결식을 거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육군 2군단


국유단은 200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발굴한 유해가 총 1만2,000여구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아군은 1만600여구(국군 1만500여구, UN군 10여구), 적군은 1,500여구(북한군 730여구, 중국군 770여구)다.

국방부는 유해의 신원확인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6·25전쟁 전사자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채취 사업을 적극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까지 유전자 시료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은 4만여명이다.

6·25전쟁 이후 수습됐으나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1만여구와 아직까지 미수습된 유해 12만3,000여구 등 총 13만3,000여구의 유해에 대한 시료채취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방부는 시료채취와 관련해 국민적 참여를 확대하고자 지난해 4월부터 신원확인에 기여한 유족에게 포상금 지급을 하고 있다.

6·25 전사자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채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유단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국유단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유전자 시료채취 대상은 전사자의 8촌이내 친척이면 누구나 가능하고, 혈연에 가까울수록 감식 정확도가 높다.

허욱구 국유단 단장(예비역 육군 준장)은 “유해발굴사업은 국민의 참여가 중요한데 전사자 유해소재에 관한 제보와 신원확인을 위한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에 많은 관심과 참여가 절실하다”며 “유전자 시료채취에 참여하는 방법은 가까운 보건소·보건지소나 보훈병원·군병원에서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유단을 직접 방문해도 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저희 홈페이지에 안내된 대표전화로 연락주시면 시료채취 키트를 발송해 드린다”며 “국유단은 호국용사 마지막 한 분까지 모시는 그날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