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우주부품 국산화율 60% '깔딱고개' 넘겠다"...정부가 '칼' 가는 까닭은

위성-로켓 설계 및 조립기술 세계 반열 올랐지만

핵심부품 개발은 수년째 답보여서 해외 수입 의존

과기정통부 '스페이스 파이오니어'사업 추진 나서

2030년까지 2,115억 투자해 핵심부품자립 달성키로

항우연이 개발한 우주로켓용 시험발사체가 기립하고 있는 모습. 로켓 및 위성 분야의 설계 및 조립은 세계적 수준에 이른 만큼 앞으로는 부품 국산화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방향이 잡혔다. /사진제공=항우연항우연이 개발한 우주로켓용 시험발사체가 기립하고 있는 모습. 로켓 및 위성 분야의 설계 및 조립은 세계적 수준에 이른 만큼 앞으로는 부품 국산화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방향이 잡혔다. /사진제공=항우연



정부가 최근 첨단 우주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기로 하면서 그 구체적 청사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당 사업이 성공하면 국산 인공위성과 우주발사체(우주로켓)의 부품 10개당 7~8개 이상을 우리 손을 직접 만드는 기술자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국산화 프로젝트는 과학기설정보통신부가 최근 발표한 ‘스페이스 파이오니어사업’이다. 내년부터 2030년까지 2,11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진행된다. 위성과 로켓 설계·조립 분야에선 이미 세계적 수준의 능력을 확보한 만큼 이를 뒷받침할 핵심부품 제조기술도 확보하겠다는 차원의 정책이다.


물론 국내에선 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이 우주산업용 부품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왔다. 그 결과 인공위성의 경우 60%정도의 부품 국산화를 이뤘으나 그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답보상태다. 일부 기술과 부품은 학계나 연구계 차원에서의 기초연구와 기반기술개발을 진행했음에도 상용화로 연결되지 않아 사장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현재 개발 중인 다목적실용위성 6호의 위성체 부품국산화율은 65%여서 지난 2012년 발사된 3호(국산화율 64%)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게 과기정통부의 진단이다. 위성체 구성품중 비교적 난이도가 높지 않은 분야는 어렵지 않게 만들었지만 고난이도 기술이 요구되는 핵심부품은 혹시나 국산화에 실패할 경우 위성발사 스케쥴이 엉키고, 발사 성공률을 떨어뜨릴 수 있어 정부와 산업계 모두 개발을 주저했던 것이다. 하지만 현재처럼 핵심부품을 계속 수입할 경우 사업비가 증가되고 사업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어려워 정부가 이번에 국산화율 제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우선 위성분야에는 13,74억8,000만원이 투입돼 총 13개 국산화 과제가 진행된다. 특히고속 고기동 위성이 우주공간에서 제대로 위치와 자세를 잡도록 돕는 ‘제어모멘트자이로’와 정지궤도 위성에서 위치신호를 잡아주는 GNSS수신기, 위성에 탑재돼 두뇌역할을 할 컴퓨터의 ASIC기반 멀티코어 컨트롤러 등이 위성본체용 핵심 부품으로 개발된다. 아울러 위성용 탑재체 국산화 향상을 위해선 우주에서 지표면 등을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고해상도 광역 SAR 탑재체용 디지털 빔포밍 기술’과 정지궤도 지구관측용 2차원 다채널 적외선 검출기 등이 개발된다. 우주로켓 부품용으로는 총 580억원이 투입돼 3가지 국산화 과제가 추진된다.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와 에비오닉스 통합기술 데몬스트레이터, 단간 연결 엄빌리칼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들 부품 및 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각 과제별로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토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단순히 기초연구나 실험실 수준의 개발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상용화로 연결될 수 있는 단계까지 기술수준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장관은 “일본의 수출규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흔들리지 않는 반도체 강국이 되려면, 소재, 부품 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주부품의 자체 개발 능력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