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세계경제 '다극화 체제'로 재편…신남·북방 잇는 경제허브 구축을"

대외硏 '文 정부 3년' 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산업 구조 급변

공급망 자국화 등 일방주의 확산

미중 경제의존도 줄여 대응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미국과 중국 등 ‘G2’ 중심의 세계 경제체제를 ‘다극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19로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인적·물적 이동이 제한되고 대면·접촉활동을 대체하는 디지털 기술이 폭발적으로 활용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 ‘셧다운’을 방지하기 위해 생산시설의 자국화가 이뤄지는 만큼 국가 간, 지역 간 각자도생 시대가 열렸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세계화가 정면으로 도전받고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4면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문재인 정부 3년 대외경제정책 성과와 과제’ 세미나에서 권구훈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은 “코로나19 사태는 미중 일변도의 세계 경제 흐름을 다극화하는 촉매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산업구조와 통상환경이 디지털 기술 발전과 일방주의 확산, 인적·물적 이동 제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코로나19 이전과는 판이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권 위원장은 이 같은 지역주의 대두에 대한 해법으로 신남방·신북방을 아우르는 지역경제 허브 구축을 제안했다. 그는 “철도 공동망 비전, 한중 국제협력시범구 추진, 한·러시아 투자펀드 출범 등이 결실을 본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정철 대외연 원장 직무대행은 코로나19로 세계 경제와 밀접한 한국 경제가 위협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 직무대행은 “오는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후 영국과 EU 간 무역협상은 글로벌 통상환경을 불확실성으로 밀어 넣을 것”이라며 “특히 코로나19로 미중 간 무역갈등이 더욱 고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덕근 국제통상학회장도 “코로나19로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 세계 경제의 탈동조화(디커플링) 흐름이 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양준·김우보기자 mryesandno@sedaily.com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