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로나에 미중 무역분쟁까지.. 재고관리 쉽지 않은 삼성전자

올 1분기 반도체 재고 줄어든 반면 스마트폰·가전제품 재고 늘어

언택트 소비 늘어나 서버 수요 증가한 반면 여타제품 수요 감소한 탓

미중 무역분쟁 격화에 따른 화웨이 움직임이 향후 삼성 실적의 변수

DS와 IM 사업부간 희비 엇갈릴 수도

삼성전자 평택 P2 라인 전경.삼성전자 평택 P2 라인 전경.



올 1·4분기에 삼성전자(005930)의 반도체 재고는 줄어든 반면 가전제품과 휴대전화 재고는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언택트 경제’ 확산으로 이들 제품간 수요가 크게 엇갈렸기 때문이다. 미·중 무역분쟁 격화에 따른 화웨이 제재로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부는 이득을, 반도체 사업부는 손실을 볼 것이라 전망도 나와 올 한해 삼성전자의 재고 관리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4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올 1·4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관련 재고는 11조4,688억원으로 지난해 말 11조9,120억원 대비 소폭 줄었다. 다만 2018년 말 반도체 관련 재고액(12조 7,629억원)과 비교하면 1년 3개월 사이에 1조3,000억원 가량의 재고를 줄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부터 2년여 동안 지속된 ‘반도체 슈퍼 사이클’에 맞춰 반도체 생산량을 늘렸지만 이후 공급과잉으로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자 공정전환 등으로 생산 물량을 조절 중이다. 코로나19로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일부 클라우드 업체가 반도체 재고를 늘린 것과 언택트 수요 확산 등도 삼성전자 반도체 재고 감소에 일조했다.

D램 등 완제품 재고는 줄이고 웨이퍼 재고는 늘리고
삼성전자 반도체 재고에서 눈에 띄는 점은 D램 및 낸드플래시 완제품 재고는 크게 줄어든 반면 웨이퍼 등 기초 원재료 재고는 대폭 늘었다는 점이다. 미리 확보한 웨이퍼 등의 원재료를 바탕으로 EUV 공정 기반의 4세대 10나노급(1a) D램 등 고부가가치 제품 양산을 통해 수익성을 늘리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실제 반도체 ‘제품 및 상품’ 항목을 살펴보면 관련 재고는 지난 2018년말 2조4,981억원에서 올 1·4분기 1조4,875억원으로 40% 이상 줄어든 반면 ‘원재료 및 저장품은’ 8,636억원에서 1조4,074억원으로 63% 가량 늘었다.


스마트폰과 통신기기 등을 담당하는 IM 부문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지난해 4·4분기 6조8,862억원에서 올 1·4분기 8조5,869억원으로 재고가 급증했다. 각국이 코로나19에 따른 인력이동 제한 및 투자여력 감소로 5G망 구축 시기를 늦춘 것 또한 IM 부문의 재고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평택 EUV 파운드리 라인.삼성전자 평택 EUV 파운드리 라인.


TV, 냉장고, 에어컨 등을 생산하는 소비자가전(CE) 부문 재고 또한 지난해 4·4분기 5조6,080억원에서 올 1·4분기 6조675억원으로 늘었다. 코로나 19로 미국 최대 가전판매 매장 ‘베스트 바이’가 문을 닫은데다 경기 침체에 따라 각종 제품 수요도 줄어든 탓이다. 올코로나19 확산세가 올 2·4분기 재무제표에 본격 반영되는 만큼 반도체 부문 재고 감소와 IM·CE 부문 재고 증가 추이는 계속될 전망이다.

미중 무역분쟁에 재고 관리 어려움 가중
전자업계에서는 최근 글로벌 경제의 암초로 떠오른 미·중 무역분쟁에 한층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업계에서는 화웨이가 미국 제재안 도입 직전에 D램·낸드플래시·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수급을 빠르게 늘려 삼성전자 DS 사업부 매출이 올 2·4분기에 늘어날 것이란 분석을 내놓는다. 일견 긍정적 신호다. 반면 화웨이가 미국 장비를 활용해 만든 반도체를 올 4·4분기부터 사실상 구입하지 못하게 될 경우 삼성전자 DS 사업부의 매출은 줄고 재고는 늘어날 전망이다. 화웨이는 최근 2년간 삼성전자의 ‘5대 매출처’에 이름을 올린 주요 고객인 만큼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화웨이 제재가 IM 사업부에게 만큼은 호재가 될 수 있다. TSMC 파운드리를 이용하지 못하는 화웨이가 향후 고성능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가 탑재된 하이엔드 스마트폰을 내놓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유럽과 남미 등 일부 시장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이 올라 갈 전망이다. 반면 CE 사업부는 도쿄 올림픽 연기 등 각종 악재와 글로벌 생산라인 일부 셧다운 등으로 올해에는 실적 반등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