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구원은 8일 BDI 정책포커스 ‘4차 산업혁명 시대 부산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보고서를 내고 기본방향과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4차 산업혁명은 가상시장(플랫폼) 중요성이 커지는 경제활동 공간 변화, 산업 간 융복합 활발, IT가 경쟁력 핵심이 되는 디지털 전환, 긱 이코노미(gig economy·임시 노동 경제) 확산 등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종욱 연구위원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부산 지역산업의 체계적, 종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며 4차 산업혁명 관련 거버넌스 정비, 4차 산업혁명 혁신 및 창업 인프라 구축, 지역산업 고도화 및 글로벌 진출 지원 강화, 포스트 코로나 대응 신산업 육성 등을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본방향으로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하기 전에 체계적 대응을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부산시 본부 단위 전담조직 신설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 인프라 대부분이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동남권 차원의 융합기술 개발 앵커기관이 필요하다”며 4차 산업혁명 융합기술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과 자동차, 조선, 해운항만물류, 의료, 관광, 금융 등의 지역산업 간 연계방안을 마련해 전체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업지형 변화가 더욱 가속화할 것에 대한 대비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감염병 대유행 주기가 짧아지면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융합한 지역 특화 비대면 서비스산업 육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부산연구원이 지난해 9월 부산지역 강소기업 등 200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4차 산업혁명 실태조사 결과 67.5%가 4차 산업혁명이 본격 영향을 미칠 시기에 대해 ‘10년 이내’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준비도에 대해서는 52.0%가 ‘낮음’으로 응답했다. 4차 산업혁명이 지역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40%)이 부정적(5.0%) 보다 월등히 높았다. 지원정책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기술인력 양성 강화,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 및 활용 지원,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 지원기관 설립 및 인프라 구축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