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이후 뉴노멀 시대에는 애플·아마존·페이스북 등이 주도주였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넥스트노멀 시대에는 언택트·전자상거래·클라우드·원격의료 분야의 혁신기업 중 새로운 주도주의 활약이 예상됩니다. 이미 주가가 많이 오른 초대형 정보기술(IT)주보다 이런 중대형 혁신기업의 장기 수익률이 앞설 것입니다.”
목대균(사진)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운용본부 본부장은 해외투자 1세대 펀드매니저다. 2005년 미래에셋자산운용에 합류, 2007년부터 해외 주식형 펀드를 운용해온 그는 글로벌그레이트컨슈머펀드(2011년~)·미래에셋글로벌그로스펀드(2014년~)·미래에셋G2이노베이터펀드(2016년~) 등 미래에셋에서 내로라하는 주요 해외 펀드의 운용 책임을 맡고 있다.
그가 4년 만에 처음으로 ‘미래에셋글로벌넥스트노멀펀드’를 출시했다. 이 시점에 새로운 펀드를 내놓은 이유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경제질서 속에서 승자가 될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 좋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목 본부장은 “이미 4차 산업혁명의 큰 흐름은 시작됐고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기업들의 성장은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며 “전자상거래, 원격의료, 온라인 교육, 홈 액티비티 등의 분야에서 ‘로컬 대장주’들은 성장 여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전자상거래 침투율이 한국은 30%, 미국은 10% 선이지만 그 외 지역은 3~4% 선에 불과해 아시아·라틴아메리카 등의 지역권에서 전자상거래 ‘골목대장주’의 성장 가능성은 풍부하다는 것이다. 다만 이런 주식들은 우여곡절의 성장 과정을 겪으며 주가 변동성이 크기에 개별 종목 한두 개에 투자하기보다 20~30개를 담는 액티브 펀드에서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투자 아이디어다.
시가총액 1조 달러가 넘는 글로벌 초대형 기업들의 기세가 등등한 상황에서 목 본부장이 중대형 혁신기업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는 기대수익률 때문이다. 그는 “애플·아마존·페이스북 등 초대형 IT기업의 성장 및 주가 상승은 앞으로도 이어지겠지만 이들 주가는 2008년 이후 600~1,000% 수익을 시현한 만큼 이제 시장수익률을 웃돌기는 힘들다”며 “이들 주식 투자는 인덱스펀드 투자와 비슷한 성과를 낼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마디로 장기 상승추세는 계속되겠지만 먹을 것이 많지는 않다는 얘기다.
그러나 초대형이든 중대형이든 언택주의 고평가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또 최근에는 에너지·항공·은행 등 구(舊)경제 주식들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목 본부장은 “백신 기대감, 셧다운 해제로 구경제 주식의 저가매력이 부각되기는 했다”면서도 “그러나 코로나19 이전의 경제 성장경로로 절대 돌아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워런 버핏의 항공주 매도 후 주가가 오르자 “실수했다”고 말했지만 목 본부장의 생각은 달랐다. “수십 년간 정상의 자리를 지켜온 투자자가 구경제주를 줄였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항공주가 일시적으로 안 좋았다면 장기투자자인 버핏이 처분할 리 없다. 코로나19 시대 그의 눈에는 항공주가 과거와는 달라 보였기 때문에 판 것이다.”
목 본부장은 대신 신경제를 주도하는 성장주 프리미엄은 꺼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코로나19의 종식 후에도 금리와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낮을 것”이라며 “채권·원자재·부동산은 더 오르기 힘들고 기업의 성장은 귀한 시대가 됐다. 그 때문에 성장주에 대한 프리미엄은 과하지 않다”고 말했다. 초대형 IT주들이 지난 10년간 끊임없는 고 주가수익비율(PER) 논란 속에 현재 왕좌에 오른 사실도 그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실물경제의 더딘 회복으로 한 차례 주가 조정을 우려하는 견해에 목 본부장은 “글로벌 투자자들은 올해 초 주식을 대거 팔고 현금과 채권을 들고 있다”며 “자산배분 관점에서 볼 때 주가 조정 국면이 온다면 팔아야 하는 사람보다 사야 하는 사람이 많다. 조정다운 조정 없이 여기까지 온 이유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중 무역분쟁이 중국의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중국이 결국은 반도체 산업을 키우지 않을 수 없다”며 “다만 미국의 끊임없는 방해로 그 성장 과정이 순탄치는 않을 것이며 그 와중에 한국 반도체 산업은 성장성과 주가가 괜찮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사진=권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