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칼에 삼성그룹의 사법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미중 무역분쟁, 한일 갈등 등 대외 악재가 겹겹이 쌓인 상황에서 삼성의 어깨를 더욱 무겁게 짓누르는 모습이다.
11일 재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검찰시민위원회는 이날 오후2시부터 부의심의위원회를 열어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에 대한 검찰의 기소가 타당했는지 평가할 검찰수사심의위원회(수사심의위) 소집에 대해 논의했다. 법조계는 이 부회장의 요청대로 수사심의위가 열리더라도 검찰이 구속영장까지 던진 마당에 기소 자체가 없던 일이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검찰이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형이 확정되지 않은 ‘국정농단 사건’ 재판에 더해 새로운 재판에 이 부회장이 다시 붙들릴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 부회장을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최고조에 달하면서 삼성의 위기 의식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그룹 안팎에서 “이번이 진짜 위기”라는 말이 퍼져나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스템반도체, 퀀텀닷(QD) 디스플레이 등 이 부회장이 회사의 ‘미래 먹거리’로 점찍었던 분야에 대한 투자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최근 이 부회장이 코로나19와 미중 갈등 상황에서 전국 곳곳의 사업장을 직접 찾으며 활발한 행보를 이어왔지만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재판이 현장 경영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전문경영인 아래 체계적인 경영 시스템이 갖춰져 있더라도 총수가 재판에 엮여 있기에 그룹의 미래를 위한 로드맵을 세우고 방향을 전환하는 작업을 추진하기 어려웠다”며 “그룹 브랜드 이미지 하락, 임직원 사기 저하 등 유무형의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놓았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 정도의 맷집이니까 4~5년 동안 이어진 사법 리스크를 감당해내고 있는 것 아니겠냐”라며 “사법 리스크로 촉발한 경영 불확실성을 하루라도 빨리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은 이 부회장이 불법행위 지시 및 보고 등 핵심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고 있는 만큼 검찰의 공격을 재판을 통해서도 막아내기를 기대하는 모습이다. 향후 열릴 재판에서 검찰과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028260)·제일모직 합병,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회계 과정에 불법이나 고의성이 있는지를 두고 치열하게 다툴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은 지난 2015년 두 회사 합병 과정에서 삼성 측이 인위적으로 주가를 조작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에피스의 합작파트너인 바이오젠의 콜옵션을 부채로 재무제표에 반영할 경우 자본잠식에 빠질 것을 우려해 회계처리 기준을 부당하게 변경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이 과정이 모두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이 부회장 측은 합병이나 분식회계와 관련한 보고를 받거나 지시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검찰 수사의 시작점인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분식 의혹은 물론 이 부회장을 위한 시세조종도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기업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주가 방어를 검찰이 인위적 주가 조작으로 몰고 있다는 논리다.
한편 삼성그룹의 준법경영을 지원하는 독립기구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의 후임으로 삼성 사회공헌업무 총괄 성인희 사장을 선임했다고 이날 밝혔다. 앞서 유일한 삼성 내부 위원으로 활동해온 이인용 사장은 4일 사임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