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집값 '규제의 악순환' 언제까지 되풀이할 건가

정부가 부동산 시장에 규제의 칼을 또 내밀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만 22번째 부동산대책이다. 이번에도 초점은 수요억제에 맞춰졌다. 우선 풍선효과를 막겠다며 수도권 서쪽과 대전·청주 등을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에 포함했다. 이제 수도권 대부분과 웬만한 지방 대도시는 규제에 묶이게 됐다. 대책의 또 한 줄기는 서울 강남과 목동 등 수요집중지역에 대한 통제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를 막는 방안이 집중됐다. 잠실 MICE 개발사업 등의 영향권에 있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투기과열지구 내에서 재건축 분양권을 받으려면 2년 이상 거주해야 하는 등 수요통제 장치를 추가했다.


이번 대책으로 시장의 과열은 당분간 냉각될 것이다. 하지만 효과가 오래갈 가능성은 높지 않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시중에 돈이 무섭게 풀리면서 광의통화량(M2)은 4월 이미 3,00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가 부동자금이 부동산으로 가는 물꼬를 막기 위한 응급처방을 내놓았지만 자금이 갈 곳을 찾지 못하는 탓에 언제든 다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시중에서는 벌써 이번 규제 때 빠진 김포 등에서 풍선효과가 다시 나타날 것을 예상하고 있다. 실수요 자금이 강남의 ‘똘똘한 한 채’로 유턴할 수도 있다.

관련기사



정부는 두더지 잡기 식의 규제책을 되풀이한 노무현 정부의 실패를 답습하면 안 된다. “이러다 전 국토를 규제 틀에 넣을 판”이라는 자조 섞인 말도 나온다. 시장과의 싸움을 중단하고 재건축·재개발 등의 규제를 풀어 수요가 있는 도심의 공급을 늘려야 한다. 공급을 충분히 한다는 시그널을 주면 규제폭탄을 던지지 않아도 시장은 안정을 찾기 마련이다. 또 부동산이 아니어도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창구를 찾아주는 일도 중요하다. 미래 신산업에 대한 규제를 풀고 이곳에 시중의 돈이 들어가도록 투자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줘야 한다. 일방통행식 오기 정책은 접을 때가 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