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스포츠의 확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자전거 이용자들이 크게 늘었지만 자전거도로 인프라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전거 이용자들이 인도와 차도를 넘나들며 위험천만한 곡예주행을 하는 동안 행인들과 차량은 사고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오는 12월부터 전동킥보드·전동휠 등 개인형 이동수단(PM)까지 자전거도로를 이용하게 되면 위험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가 지난 16일 ‘자전거 1시간 생활권’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놓았지만 하천 중심으로 자전거도로가 절실한 116개 지역 생활권은 소외됐다. 자전거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자전거는 도로 위의 양서류’라는 푸념까지 나온다.
17일 서울경제가 만난 시민들은 자전거도로가 잘돼 있는 한강과 하천 주변, 큰 도로 등과는 달리 도심은 “자전거 이용 불가 수준”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자전거 전용로가 중간중간 끊겨 있는데다 이마저도 불법주차 장소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과 자전거 산책을 나온 김모(43)씨는 “자전거도로가 아이들이 다니기에 부적합하다”며 “너무 위험해서 인도로만 다니게 한다”고 말했다. 50대인 한모씨도 “한강변은 잘돼 있는 편이지만 도심은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며 “자전거도로 위에 공사 차량이 있는 경우도 봤다”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만 해도 자전거도로는 공사현장에서 보행통로 대체도로로 활용되거나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전거도로를 ‘점유’당한 자전거 이용자들은 어쩔 수 없이 차도나 인도로 달려야 한다. 붉은 표시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끊기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골목 사정 역시 열악했다. 초등학교 3학년인 홍성호군은 “골목 도로가 좁아서 차와 부딪힐 뻔한 적이 많았다”며 “자전거도로가 없어서 불편하다”고 전했다. 정의재(21)씨는 차도와 인도를 넘나드는 자전거의 모습을 “도로 위의 양서류”로 묘사했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따릉이’ 이용자는 급증하고 있지만 정작 자전거도로는 도심이 아닌 하천·교량 등에 집중돼 있다. 따릉이가 도심 속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자전거가 아닌 공원 속 레저용도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8년까지 1,600만건이던 따릉이 누적 이용 건수는 올해 4월 말 기준 4,140만건에 이른다. 반면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하천·공원·교량에 치중돼 있다. 하천·공원·교량이 277㎞에 달하는 반면 시내 도심은 자치구 평균 25.7㎞에 불과하다. 서울시가 현재 940㎞인 시내 자전거도로를 2030년까지 1,330㎞로 늘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서울 25개 자치구 평균으로 환산하면 15.6㎞씩 늘어나는 데 불과하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서울은 구릉지가 많아 자전거가 일상생활에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구릉지 부담을 줄이는 전기자전거를 활용하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전거도로의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