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한국판 뉴딜의 주축인 ‘디지털 뉴딜’에 대해 “우리가 하고자 하는 디지털 뉴딜은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 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 댐(Data Dam)’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다용도로 활용한다면 관련 산업이 생성되면서 한국판 뉴딜의 핵심인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데이터·AI 전문기업 ‘더존비즈온’의 강촌캠퍼스를 방문해 “우리 경제를 살리면서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만들어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이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해결을 위해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를 밝힌 후 관련 현장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세계 대공황 당시 프랭클린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이 제시한 뉴딜 정책 중 ‘후버 댐’과 연계해 데이터 댐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후버 댐에 대해 “대규모 댐을 건설해서 많은 물을 가두고 모은다. 그렇게 모아진 물을 수문을 통해 내려보내면서 어떤 물은 발전에 사용되고, 어떤 물은 농업용수가 공업용수 같은 산업용수로 사용이 되고, 어떤 물은 식수로 사용되고, 그 다음에 홍수나 가뭄을 조절하는 기능도 하고 그래서 다목적댐으로 부른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을 투입해서 여러 해 동안 공사를 하기 때문에 공사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완공되면 물을 여러가지로 활용하는 많은 관련 산업들이 생겨나게 되고 거기서 산업이 부흥하면서 일자리들이 생겨나게 된다”고 했다. 또 문 대통령은 “나아가서는 상부에는 물을 가둔 아주 거대한 인공호수가 아주 아름답게 조성이 되고, 물이 떨어지는 위용이 대단하기 때문에 아주 유명한 관광지가 되는 것”이라며 “그러면 관광산업, 숙박업체, 심지어는 카지노 같은 위락업체까지 생기면서 공사하는 기간 동안 생긴 일자리 때문에 도시가 만들어지고 그다음에 관광산업이 발전하면서 더 큰 도시가 만들어진다. 이런 식의 선순환을 통해서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고자 했던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데이터 댐에 대해 “데이터 댐에는 우리 공공과 민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이 되는 데이터들이 모이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가 원 데이터 자체로서는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표준화하고 서로 결합해서 가공한다”며 “이것을 개인정보가 다 빠지게 보호되게 만드는 비식별 정보로 만들어내면 그것이 많이 활용될수록 더 똑똑한 인공지능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것을 표준화하고 이것을 가공 결합하는 과정들은 전부 사람들의 작업에 의해 이뤄져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 생겨나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공공과 민간에서 생성되는 많은 데이터들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개방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개방의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비식별 데이터로 만들어내는 일들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디지털 경제가 우리 산업을 고도화하고 혁신시키면서 많은 수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겠지만 기존 산업에 종사하는 일자리는 없앨 수가 있다”며 “기존 산업에 종사하는 분들을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로 옮겨드리는 사업들을 국가적으로 함께 병행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격차를 줄여야 한다는 점도 짚었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에 쉽게 접근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디지털 격차, 이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격차보다 훨씬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그 격차를 줄여서 포용적인 디지털 경제를 만들어내는 것도 우리의 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