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통일부 대남삐라 중단 요구에 北 "살포 계획 변경 의사 없어"

통전부 대변인 담화 "이미 깨진 북남관계"

北 소규모 부대 DMZ 투입...美, 정찰강화

북한이 공개한 대남삐라(전단)./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이 공개한 대남삐라(전단)./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대남기구인 노동당 통일전선부(통전부)는 21일 통일부의 대남전단 도발 중단 촉구에도 살포 계획을 수정할 의사가 전혀 없다고 못 박았다.

조선중앙통신은 통전부가 대변인 담화를 통해 “삐라(전단) 살포가 북남합의에 대한 위반이라는 것을 몰라서도 아닐뿐더러 이미 다 깨어져 나간 북남관계를 놓고 우리의 계획을 고려하거나 변경할 의사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통일부는 전날 북한이 대남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유감을 표명하는 입장문을 내고 “북한의 이러한 행위는 남북 간 합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북한이 공개한 대남전단에는 문재인 대통령 얼굴 위에 ‘다 잡수셨네…북남합의서까지’라는 문구를 합성한 전단 더미 위에 꽁초와 담뱃재, 머리카락 등을 뿌려져 있었다.

통일부는 또 남측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원천 봉쇄하기 위한 단속과 법적 조치 등을 취하고 있음을 재차 밝히며 “북한도 더 이상의 상황 악화 조치를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위반이요 뭐요 하는 때늦은 원칙성을 들고나오기 전에 북남충돌의 도화선에 불을 달며 누가 먼저 무엇을 감행했고 묵인했으며 사태를 이 지경까지 악화시켰던가를 돌이켜보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체 인민의 의사에 따라 계획되고 있는 대남보복 전단 살포 투쟁은 그 어떤 합의나 원칙에 구속되거나 고려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재삼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

대변인은 “이제는 휴지장이 되어버린 합의에 대하여 남조선당국은 더 이상 논하지 말아야 한다”며 “이번 기회에 남조선당국자들이 늘상 입에 달고 사는 ‘역지사지’의 입장에서 똑같이 한번 제대로 당해보아야 우리가 느끼는 혐오감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그것이 얼마나 기분 더러운 것인지 똑똑히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통전부 대변인 담화는 이날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도 공개됐다.

19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바라본 북한 개머리해안 포문이 열려있다. 군 관계자는 습기 제거를 위해 포문을 개방하는 경우가 있거나, 개방된 문에 포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인천=연합뉴스19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바라본 북한 개머리해안 포문이 열려있다. 군 관계자는 습기 제거를 위해 포문을 개방하는 경우가 있거나, 개방된 문에 포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인천=연합뉴스


북한이 연일 대남전단 살포 등 도발 움직임을 이어가면서 한반도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실제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군은 비무장지대(DMZ) 북측지역 일대에 설치된 ‘잠복호’(잠복초소)에 소수 병력을 지속해서 투입해 수풀 제거와 진입로 보수 및 개척 등의 작업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연일 정찰기를 남한 상공에 띄워 대북 감시를 강화했다. 20일 항공기 추적 사이트 ‘노 콜싸인’(No callsign)에 따르면 미 공군의 E-8C 조인트스타즈(J-STARS) 정찰기가 19일 오후 7시37분께 일본 오키나와 가데나(嘉手納) 미군기지에서 이륙했다. E-8C는 19일 오후 9시께부터 20일 새벽까지 구체적인 항적을 남기지 않고 남한 상공을 비행했으며, 의도적으로 위치 식별 장치를 켜 놓았다.

통합 감시 및 목표공격 레이더 시스템 등을 탑재한 E-8C는 고도 8∼12㎞ 상공에서 북한의 미사일 기지, 야전군의 기동, 해안포 및 장사정포 기지 등 지상 병력과 장비 움직임을 정밀 감시할 수 있다. 앞서 지난18일 오전에도 미 공군 리벳조인트(RC-135W) 정찰기가 서울, 경기 등 남한 상공을 비행한 바 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