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부산연구원이 내놓은 BDI 정책포커스 ‘해양수도 부산, 해양플라스틱 관리 로드맵 필요’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해수부와 해양환경공단의 부산해역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조사에서 한국해양대 지점의 2018~2019년 2년간의 총수거량을 쓰레기 종류별로 보면 개수는 플라스틱류가 대부분(90.1%)이고 무게로도 플라스틱류가 전체의 48.6%를 차지했다. 더군다나 플라스틱 배출량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1회용품·배송용기·음식용기 등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보고서를 작성한 양진우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은 해양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2030 세계엑스포 유치를 공포하고 해양수도 밑그림을 채워가는 시점에서 선진 해양환경 도시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라도 ‘해양플라스틱 프리도시’를 선언하고 정책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양플라스틱 관리를 위한 부산시 로드맵으로 ‘해양플라스틱 프리도시’ 비전 선언, ‘해양쓰레기 관리 조례(가칭)’, 부산 해양플라스틱 관리계획(가칭) 등 법·제도적 장치 마련, 지역 구성원과 함께 하는 해양플라스틱 저감 캠페인 전개, 해양플라스틱의 지역 신산업화 자원으로의 발굴 등을 제시했다.
양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연안 해양환경 개선과 보전을 목적으로 연안에서 배출된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지원에 관한 사항 등을 규정한 해양쓰레기 관리 조례 제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연안에서 수거되는 해양플라스틱의 관리계획을 해양플라스틱 생산·발생·소비·수거·재활용·처리의 전주기 관리 차원에서 수립하기 위한 부산 해양플라스틱 관리계획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양플라스틱 저감·수거 캠페인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해양플라스틱 발생원·배출원이 다양하기 때문에 시민, 기업 등 지역 전 구성원이 함께 하는 해양플라스틱 저감 캠페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양 선임연구위원은 “해양플라스틱을 포함한 해양쓰레기 관리정책에서 발생량 저감과 수거·재활용 확대가 강조되고 있으므로 재활용에 부가가치를 더한 업싸이클링을 새로운 지역 산업화자원으로 발굴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