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증권업계 시스템리스크가 커지고 있으며 스트레스테스트와 리스크 전이 경로 모니터링, 정부 유동성 지원정책 등을 통해 이를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2일 ‘증권업 시스템리스크 진단 및 대응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증권업의 시스템리스크 잠재위험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관련 위험을 선제적으로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시스템리스크는 개별 금융회사의 손실이 다른 금융회사의 손실로 전이되어 실물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위험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 국내 증권사의 차입 부채 규모는 322조원으로 2010년 말 117조원의 2.8배다. 국내 증권사는 주가연계증권(ELS), 파생결합증권(DLS) 헤지운용,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 등 업무를 늘리며 관련 차입 부채도 빠르게 증가했다. 아울러 차입 부채의 만기는 짧아지고 보유자산의 만기가 길어지면서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졌다.
금융투자상품의 수요 증가로 증권사 건전성 위험도 악화했다. 증권사 순자본비율(NCR)은 최근 10년간 557%에서 381%로 지속해서 하락한 반면, 레버리지 비율은 551%에서 837%로 급증했다.
보고서는 최근 빠르게 증가한 그림자금융으로 시스템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림자금융은 신용 창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은행업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상품이나 기관을 뜻한다.
2018년 말 국내 그림자금융 규모는 8,400억달러로 지난 2006년 대비 192%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ELS·DLS 헤지 운용에서 대규모 손실 발생 시 마진콜 위험에 노출되며 원화 단기자금시장과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에서 특정 증권사가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면 단기자금시장과 채권시장을 통해 타 금융사로 위험이 연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부동산 채무보증 손실이나 ABCP 차환 위기로 부동산 자산을 매각하면 부동산 자산가격 급락으로 이어져 다른 금융사들이 연쇄 손실을 기록할 수 있다고 이 연구위원은 내다봤다.
보고서는 한국 증권업의 시스템리스크 잠재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증권회사 스스로 ELS·DLS, 단기자금시장, 부동산PF 등에서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험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증권사는) 과거 위기상황 발생 시점을 기초로 주식, 채권, 외환, 단기자금, 파생상품 시장의 충격에 따른 스트레스테스트를 정례화하고 결과를 감독 당국과 공유할 필요가 있다”며 “개별 시나리오마다 예상 손실 및 차환 수요를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순 유동성 자산을 보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가 단기자금시장의 상황별 유동성 지원정책,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용위험 증가에 따른 충당금 적립 현황 모니터링 등에 나섬으로써 시스템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