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년 내 해외에서 청정수소를 들여오기 위해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30개 기업·기관과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협약에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공기업 5곳,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준정부·연구기관 6곳,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선급 등이 참여했다.
정부가 그간 수소전기차, 수소충전소 확대 등 수소 수요를 늘리는 데 힘썼다면, 이제는 양질의 수소 공급도 늘려야 할 시점으로 보고 민관이 뜻을 모은 것이다. 산업부가 지난해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연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이 올해 4,000톤에서 2030년에는 37만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 하지만 현재 국내 수소는 석유화학 공정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 수소와 천연가스(LNG)에서 뽑아내는 추출 수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생 수소는 공급 여력에 한계가 있고,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민관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는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청정수소 생산능력과 기술적 한계를 고려할 때 2030년 이후 국내 수소 수요 중 최소 10~50%의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해야 할 것으로 산업부는 보고 있다.
청정수소를 국내로 들여오려면 액화 수소 운반선, 인수기지, 항만 저장 탱크 등 막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산업부는 MOU를 통해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간 국제협력을 통해 사업 위험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직접 구축할 민간은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청정수소를 공급할 해외 후보군에 대해 6개월간 전문 컨설팅과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4~5년간 실증단계를 거쳐 민간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