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재난지원금 약발 벌써 시들... 카드소비 한달도 안돼 '주춤'

이달 첫주 8% 증가후 3%대로 뚝

코로나 이전 2월 증가율보다 낮아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에 힘입어 ‘반짝’ 뛰었던 카드 소비 증가세가 한 달이 채 안 돼 주춤하는 모양새다. 크게 늘었던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율이 재난지원금 소진 시기와 맞물려 예년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다시 떨어졌다. 재난지원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얼어붙은 소비를 되살리기 위한 마중물이 아닌 일시적인 특수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2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국내 개인 신용카드 승인실적은 이달 첫째 주(3~9일) 9조5,079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7% 늘었다. 최근 3년 평균 증가율 5.6%에 견주면 40% 가까이 높은 증가폭이다.


반면 둘째 주(8~14일) 카드 사용액은 10조6,931억원으로 1년 전보다 3.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예년 수준은 물론 국내에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하기 이전인 2월의 증가율 6.6%에도 미치지 못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소비성향이 특별히 늘지 않아도 카드 사용액은 5% 안팎으로 증가하는 것이 통상적인 수준”이라며 “단 1주일 만에 증가율이 크게 하락한 것은 재난지원금을 소진한 가계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카드 사용액은 민간소비의 대표적인 척도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소비 위축이 본격화한 3월(-4.1%)과 4월(-4.4%) 카드 사용액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이에 정부와 정치권은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녹일 마중물을 붓겠다며 14조원이 넘는 전 국민 재난지원금 카드를 꺼내 들었다. 효과는 즉각적이었다. 5월 카드 사용액은 전년 대비 2.3% 증가하며 두 달 만에 상승 반전했고 재난지원금 소비가 절정에 달한 이달 첫째 주에는 8%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재난지원금 소진이 가까워지며 소비 진작 효과도 다시 시들해졌다. 실제 정부 재난지원금은 지난달 11일 지급된 후 3주 만인 이달 2일 기준으로 이미 64%가 소비됐다. 소상공인 카드 매출은 이보다 앞서 이미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전국 60여만 소상공인의 카드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평균 매출은 1년 전보다 2%가량 감소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재난지원금의 소비 진작 효과는 일회성에 불과하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증명된 셈”이라며 “재정 투입 규모를 고려하면 전 국민 2차 지원금보다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선별 지원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