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 2학기 '사이버강의' 계속될텐데...온라인 시스템조차 없는 지방대 '수두룩'

교육부, 308개 大 대상 LMS 보유현황 조사

4년제 25개교·전문대 42개교 시스템 없어

대부분 영세한 지방대로 수억 투자 꺼려

교육부 추경예산으로 원격교육센터 설립 추진

서울 서대문구의 한 가정에서 올해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이 노트북으로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서대문구의 한 가정에서 올해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이 노트북으로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대학가의 비대면 강의가 계속되고 있지만 체계적 온라인강의를 위한 학습관리시스템(LMS)조차 갖추지 않은 대학이 67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정여건이 양호한 국공립대학이나 수도권 사립대들과는 달리 영세한 지방대학일수록 관련 투자가 미흡한 실정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대학 간 온라인강의의 품질 격차가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교육부가 국내 4년제 대학 173곳과 2년제 전문대 135곳을 조사한 결과 4년제 25곳과 2년제 42곳 등 총 67개 학교가 ‘LMS’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에 응한 4년제 대학의 14.5%, 2년제 전문대의 31.1%에 달하는 수치다. 이들 대학은 대부분 지방에 소재한 영세한 규모의 학교들이었다. 더욱이 조사에 응하지 않은 4년제 대학 20곳 등이 누락된 만큼 실제 LMS가 없는 학교는 67개교보다 더 늘어날 수도 있다.


LMS는 강의 전달·평가·관리 등 교수 학습의 전반적 과정을 온라인으로 통합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대학뿐 아니라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도 많이 활용한다. 올해 전국 학교가 온라인 개학을 하면서 초·중등학교 원격수업 때도 LMS 시스템이 활용된 바 있다.

관련기사



문제는 LMS 구축과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대학이 입찰을 통해 LMS를 구축하려면 약 2억원이 필요하다. 또 LMS를 구축했더라도 노후화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로 수억원을 들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재정사정이 열악한 지방대학들은 LMS를 구축하지 않거나 외주로 운영하는 상황이다. 반면 재정상태가 양호한 수도권 사립대학들은 대부분 LMS를 구축해놓은 상태다. 코로나19로 이번 1학기 원격강의가 진행되는 동안 수도권 대학과 지방 영세대학들이 큰 격차를 보인 이유다. 이미 LMS를 보유한 서울의 한 사립대는 올 1학기 원격수업에 대비하기 위해 서버 증설과 장비 구입에 10억원을 투자하기도 했다. 수도권의 한 사립대 총장은 “개별 대학이 현 사태를 모두 감당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우려를 반영해 교육부는 이달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학 온라인강의 지원예산으로 622억1,600만원을 편성했다. 1차 추경 때보다 35배나 증액한 액수다. 해당 예산에는 전국 10개 권역에 대학 원격교육센터를 세우고, 원격도우미 4,200명을 투입하는 사업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추경예산이 마련되면 권역별로 대학이 LMS를 연계해 사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