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日수출규제 1년, 韓 소부장 경쟁력은 여전히 日 90% 수준”

■전경련 소부장 경쟁력 변화 설문조사

반·디 분야 소부장 경쟁력 빠르게 상승

응답 기업 66%는 한일관계 개선 희망

/전국경제인연합회/전국경제인연합회



지난해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에 대한 수출을 규제한 뒤로 한국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일본의 9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매출 1,000대 기업(비금융 업종) 중 일본과의 수입 거래가 있는 국내 기업 149곳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라는 주제의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7월 일본의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할 경우 일본에서 소재·부품·장비 등을 수입하는 국내 주요 기업은 한국 소부장 경쟁력이 지난해 7월 89.6에서 이달 91.6으로 상승했다고 봤다.


업종별로는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쟁력이 지난해 7월 92.7에서 현재 98.7로 가장 가파르게 성장했다. 수출 규제를 받은 3대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폴리이미드)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주효했다는 게 전경련의 분석이다. 1차 금속 제조업의 경쟁력은 88.1에서 92.5로, 식료품 제조업은 91.9에서 96.3으로, 기타기계·장비 제조업은 97.0에서 101.0으로, 화학물질·화학제품 제조업은 96.1에서 97.8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일본의 수출 규제와 한국에 대한 화이트리스트 제외 이후 일본에서 소부장을 수입하는 데 실질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한 기업은 23.5%에 불과했다. 어려움이 없었다는 기업은 45.6%였다. 일본의 조치가 실제 규제로 이어진 사례는 많지 않았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조사 대상 기업의 68.5%는 계속 일본에서 소부장 수입을 해왔으나 31.5%는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시도했다. 그 결과 기존 일본 수입액의 평균 3.35%를 일본 외 공급선으로 대체했다고 답했다.

응답 기업의 66.4%는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봤다. 구체적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66.4%로 가장 많았고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을 활용(11.4%), 미국의 중재(7.4%) 등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 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은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는 어렵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관이 꾸준히 노력하면서 한일 양국이 수출 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