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여름철‘야생버섯’함부로 먹으면 '큰일'

외형으로 구분 어렵고, 소량만 섭취해도 치명적

독버섯 붉은사슴뿔버섯독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농촌진흥청은 6일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에 의한 중독사고 발생 위험성을 알리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장마철이 시작되는 7월에는 야생버섯의 발생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중독사고 발생 빈도도 높다. 우리나라에는 약 1,900여 종의 버섯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약 400여 종만 먹을 수 있고 대부분은 독버섯이거나 식용 가치가 없다.


일반적으로 형태가 비슷한 식용버섯과 독버섯은 외형적인 특징만으로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외형만 보고 식용여부를 섣불리 판단하고 섭취할 경우 치명적인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화경솔밭버섯은 밤에 주름살 부분이 빛을 내는 신비로운 버섯이지만, 함부로 섭취하면 구토, 두통, 오한, 탈진 등의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관련기사



붉은사슴뿔버섯은 소량만 섭취해도 죽음에 이를 만큼 독성이 매우 강한 버섯이다.

붉은사슴뿔버섯은 주로 나무 밑동에서 붉은색의 원통형 또는 뿔 모양의 자실체를 형성한다. 겉모습은 영지의 어린 자실체와 매우 비슷하지만, 영지와 달리 전체적으로 붉은빛을 띠며 영지보다 갓의 윗부분이 뾰족하다.

독버섯 화경솔밭버섯독버섯 화경솔밭버섯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버섯을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동환 버섯과장은 “색이 화려하지 않은 버섯, 세로로 잘 찢어지는 버섯, 곤충이나 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 등의 속설은 모두 잘못된 것”이라며 “무분별한 야생버섯 섭취는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농가에서 생산한 신선하고 안전한 버섯을 섭취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