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지방자치단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으로 경남, 충북, 광주·전남의 지역혁신 플랫폼이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은 지자체와 대학, 고교, 기업 등 지역의 다양한 기관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꾸려 지역의 교육·취업 등 전반적인 정주 여건을 개선하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저출산·고령화와 수도권 인구 집중으로 지방대 학생들이 줄어들자 교육부가 올해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경남은 경상대 등 지역 내 17개 대학, LG전자 등 49개 지역혁신기관과 플랫폼을 구성해 제조 엔지니어링, 제조 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공동체를 사업의 핵심 분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충북은 충북대 등 지역 내 15개 대학, 첨단 의료산업진흥재단 등 44개 지역혁신기관과 손잡고 제약 바이오, 정밀 의료·기기, 화장품·천연물 등 바이오산업과 관련한 3개 분야를 지역 혁신 핵심 사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세워놨다.
광주·전남은 전남대 등 15개 대학, 한국전력공사·자동차부품연구원 등 31개 지역혁신기관과 플랫폼을 구성해 에너지 신산업, 미래형 운송기기 사업을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선정된 3개 지역 플랫폼은 공통으로 지역 대학 간 학·석사 연계, 융·복합 전공 운영, 공동 교육과정 구축 등 공유대학 모델을 추진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선정된 3개 지역혁신 플랫폼에 사업비의 70%를 국고 1,080억원으로 지원한다. 나머지 30%는 지방비로 부담한다.
아울러 교육부는 지역혁신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대학 및 지역 균형 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올해 안으로 개정해 사업에 필요한 규제를 완화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각 플랫폼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청년 고용률을 5∼7%포인트가량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에는 비수도권 14개 모든 시도가 단독 또는 연합으로 총 10개 플랫폼을 구성해 지원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각 기관의 공동 노력을 통해 지역을 혁신하고 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면 인재들이 지역 내 일자리를 얻고 정착하는 선순환 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