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1분기 -6.8%라는 기록적인 역성장을 딛고 2분기 3.2% 성장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침체국면에서 좀처럼 빠져나오지 못하는 미국 등 선진국들과 대비된다. 이것은 8조 5,000억 위안(약 1,500조 원)을 쏟아부은 초대형 경기부양 때문이지만, 신용카드 시대를 건너뛰고 QR코드를 도입한 이후 하루 15억 건의 휴대폰 결제가 이루어지는 비대면 사회를 미리 준비한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중국의 회복력은 외부로부터의 총공세에 직면한 시진핑 체제의 업적 정당화에 도움을 주고 있고, 중국시장이 건재한다는 것을 국제사회에 과시하면서 대중국 공동전선을 약화시키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의 국내 복귀를 요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플과 테슬라와 같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중국 잔류를 선택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최종소비재로서의 중국시장을 버리고 당분간 다른 곳을 찾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은 올해만 1조 2,000억 위안(약 200조 원)을 중국판 뉴딜에 투자하면서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물론 중국은 정치적, 사회적 리스크, 글로벌 군사력의 한계, 낮은 경제의 질, 소프트파워의 취약성, 무엇보다 미래경쟁력의 핵심인 과학기술력과 연구개발 인력도 한계를 지닌 취약한 국가다. 또 교역을 촉발하는 활동이 멈추면서 바이어를 만나 신뢰를 확보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사라져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더구나 바이러스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된다 해도 과거의 질서로 되돌아가기는 너무 멀리 왔고, 오히려 인플루엔자와 같은 다음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대비해야 하는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 미국의 탈중국화, 중국제품 배제가 본격화되면서 기술독립을 향한 초조감이 반영돼 있는 것은 물론이다. 위기는 새로운 기회가 아니라 또 다른 위기의 시작을 알리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중국은 미래 도약을 향한 방안에 필사적이다. 우선 자원을 동원해 배분하는 효율 극대화 전략이다. 민간이 시장에서 미래의 기회를 찾는 동안 국가는 정보와 지식 인프라를 깔아준다. 민간기술이 힘이 부치면 군사기술도 동원한다. 중국 정부가 군민융합발전위원회를 띄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둘째, 미래산업에 대한 기반투자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우리가 4대강 정비사업에 집중할 때, 중국은 전국을 실핏줄처럼 고속철도로 연결했다. 사람과 물자의 유동을 통해 도시화를 촉진하면서 성장잠재력을 찾았다. 셋째, 생활 속 혁신이다. 중국은 낮은 수율(제품합격률)에도 불구하고 생활에 접맥하고 상업화하면서 실패를 거울로 삼았다. 예컨대 연간 6억 9,000 마리의 돼지고기가 소비되는 양돈 시장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해 폐사율을 줄이고 보험개혁을 이루는 두 마리 토기를 잡기도 했다. 넷째, 실사구시적 실험이다. 알리바바는 코로나19 기간에 계열사의 인력을 상호 교환하는 공유직원을 실험하기도 했다. 온갖 규제와 노동 경직성이 있는 곳에서는 생각도 못 할 일이다. 다섯째, 융합과 결합이다. 중국은 규모의 경제에서 오는 엄청난 빅데이터가 있다. 지난해 11월 11일 중국 최대 쇼핑의 날인 광쿤제(光棍節) 하루 동안 이루어진 15억 4,000만 건의 인터넷 주문상품도 3~4일 만에 배달했다. 소비자들의 구매상품을 예측해 동네 물류창고에 미리 가져다 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한국도 산업정책만 있고 제도개혁이 없다는 비판이 있지만, 뉴딜정책의 방향은 제대로 잡았다. 문제는 전년 대비 매출이 30% 줄어드는 상황에서 생존해야 하는 기업이 여기에 올라탈 수 있도록 정책 시너지를 만들어야 하며, 자생력을 회복할 때까지 패자부활을 용인할 수 있는 혁신공간을 묵묵히 받쳐줘야 한다. 곡선주로에서 추월하고 차선을 바꿔야 살아남는다면, 지금 여기서 리셋하고 리바운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