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동훈 녹취록' 전문 공개되자 진중권 "무서운 인간들…공중파로 언론플레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을 받는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와 한동훈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의 대화 녹취록 전문이 21일 공개된 가운데,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해당 녹취록 내용을 두고 “누군가 ‘악마의 편집’으로 공중파 통해 언론플레이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진 전 교수는 “KBS도 그렇고 MBC도 녹취록 내용을 왜곡해 보도 했다”며 “결국 누군가 방송사 내세워 언론플레이를 한 셈인데, 이들에게 영장을 흘린 게 누구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지난 20일 MBC는 한 검사장이 이 전 기자에게 ‘그런 것은 해볼 만하다. 그런 거 하다가 한두개 걸리면 된다’고 이야기한 부분에 대해 공모 의혹이 짙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이 발언은 지난 2월13일 부산고등검찰청에서 두 사람이 나눈 대화 중 한 부분을 발췌한 것으로 이 전 기자 측은 이러한 해석이 온당치 않다는 차원에서 21일 녹취록 전문을 공개했다.

녹취록에 따르면 이 전 기자는 당시 한 검사장에게 “사실 저희가 요즘 P○○(후배기자)를 특히 시키는 게...성공률이 낮긴 하지만 그때도 말씀드렸다시피 신라젠 수사는 수사대로 따라가되 너는 유시민만 좀 찾아라”라며 “이철 아파트 찾아다니고 그러는데”라고 말했다.

그러자 한 검사장은 “그건 해볼 만하지. 어차피 유시민도 지가 불었잖아. 나올 것 같으니까 먼저 지가 불기 시작하잖아”라고 답했다.

그러자 이 전 기자는 “이철, Q○○, R○○. 제가 사실 교도소에 편지도 썼거든요. 당신 어차피 쟤네들이 너 다 버릴 것이고”라고 말했고, 한 검사장은 “그런 거 하다가 한 건 걸리면 되지”라고 대답했다.


MBC 전날 해당 부분을 두고 “이 전 기자가 ‘피해자 이철 씨 측을 압박해서 유시민의 범죄 정보를 얻으려 한다’ 이렇게 취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자, 한 검사장은 ‘그런 것은 해볼 만하다’고 말을 한 것으로 검찰 수사팀이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한동훈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 /연합뉴스한동훈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 /연합뉴스


이에 진 전 교수는 “공개된 녹취록을 다 읽어봤다. 내용은 이렇게 요약된다”며 “‘이거 민생사안이야. 그게 우선이야. 유시민? 걔한테 관심 없어. 걔, 정치인도 아니잖아. 어차피 지금은 X밥이고. 작년에 비하면 위상이 (아마도 털보?)만도 못하잖아. 제 발이 저려 강연료 제가 먼저 부니까, 뭐, 잘 뒤져 봐. 그런 건 해볼 만하니까. 혹시 알아? 하나 건질지. 나 시간 없어. 갈게’”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어이가 없다”며 “이걸 유시민 잡으려 ‘공모’했다는 근거로 영장에 썼으니 대검에서 ‘이게 왜 문제야?’라는 반응을 보일 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악마의 편집’이라는 얘기도 나온다”며 “아무튼 누군가 그 ‘악마의 편집’으로 공중파 통해 언론플레이를 한건데, 언론 동원하는 건 서울중앙지검에서 직접 했을 것 같지는 않다”고 주장했다.

진 전 교수는 “다른 한편, 판사가 영장 내주며 ‘검찰과 언론의 신뢰를 위해서’라고 이상한 얘기를 써넣은 이유도 알겠다”며 “영장을 내줄려니 근거가 너무 부족했던 것이다. 그래서 판사에 거기에 검찰개혁, 언론개혁이라는 정치적 명분을 억지로 갖다 붙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KBS도 그렇고 MBC도 녹취록 내용을 왜곡해 보도 했다. MBC의 경우엔 KBS에서 이미 오보를 인정하고 사과를 한 시점에서 그 짓을 했다”며 “혼자서라도 이 상황을 돌파하겠다는 건데, 역시 MBC”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결국 누군가 방송사 내세워 언론플레이를 한 셈인데, 이들에게 영장을 흘린 게 누구냐”며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서울중앙지검에서 ‘악마의 편집’으로 창작해낸 피의사실이 대한민국 대표 방송사들을 통해 공표됐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진 전 교수는 “정치적 이유에서 사안을 무리하게 ‘검언유착’으로 몰고 가다가 역으로 ‘권언유착’의 꼬리를 밟힌 셈인데, KBS와 MBC는 취재원이 누구였는지 밝혀야 한다”며 “이 사람들, 무서운 인간들”이라고 덧붙였다.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