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조명래 “수돗물 유충, 수질기준 국민 눈높이 초과"

토목 없는 그린뉴딜, MB 녹생성장과 달라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중구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환경부 출입기자단과 그린 뉴딜을 주제로 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환경부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중구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환경부 출입기자단과 그린 뉴딜을 주제로 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환경부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최근 불거진 수돗물 유충 사태를 두고 “관련 규정이나 기준과 무관하게 국민 눈높이에서 보면 수질기준을 초과했다”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게 명확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22일 서울에서 출입기자 간담회를 열고 “최근 수돗물 유충 문제로 불편을 드리고 우려를 낳게 해 주무장관으로서 마음이 무겁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지난 21일 수돗물 유충 발견 원인으로 지목된 활성탄지 정수장에 대한 긴급 점검을 실시해 전체 49개 중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을 발견했다. 활성탄지는 유충이 부화해 번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이다. 조 장관은 “현 상황에 대해 엄중하고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며 “수돗물을 단순히 이화학적 기준의 안전이 아니라 안심할 수 있는 수준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그린 뉴딜’에 대한 정책 방향과 주요 사업도 소개했다. 조 장관은 그린 뉴딜에 대해 “단순한 비전계획이나 공약 수준을 넘어 5년 단위 중기 재정계획 틀에 맞춰 추진된다”며 “세계 최초로 국가재정계획의 세부 이행방안을 포함해 추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린 뉴딜에는 토목 사업이 거의 없다”며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과도 다르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오는 2025년까지 그린 뉴딜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1,230만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5년간 그린 뉴딜 사업을 통해 감축 성과가 나오면 이를 강화해 온실가스를 줄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