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노총 운명의 날...22년만 노사정 대타협 승인이냐 무산이냐

온라인 대의원대회 개최해 표결

결과 오후 10시 홈페이지 발표 예정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열린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전시회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열린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전시회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의 추인 여부를 대의원대회에서 23일 결정한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온라인으로 71차 임시 대의원대회를 개최한다. 안건은 코로나 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의 승인 여부다. 대의원은 총 1,480명이며 과반 투표가 되면 성립되고 총 투표수의 과반이 찬성하면 통과된다. 투표 결과는 이날 오후 10시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민주노총이 온라인 방식의 대의원대회를 하는 것은 처음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게 여의치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노사정 합의안은 정세균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지난 5월 출범한 노사정 대표자회의에서 마련한 것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고용 유지, 기업 살리기, 사회 안전망 확충 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담고 있다.

관련기사



앞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올해 4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원 포인트’ 노사정 대화를 처음 제안했고 노사정 대표자회의에 참여했다. 김 위원장은 이달 1일 노사정 합의안 서명을 위한 협약식을 앞두고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에서 합의안의 추인을 못 얻었고 협약식도 무산됐다. 이에 김 위원장은 직권으로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대의원들의 뜻을 묻기로 했다.

가결되면 1998년 외환위기 당시 이룬 2·6 대타협 이후 22년 만에 민주노총이 참여하는 노사정 합의가 된다. 제1노총으로서 민주노총이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평가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부결되면 민주노총이 제1노총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외면한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차기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정파 갈등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전망딘다. 김 위원장은 합의안이 부결되면 사퇴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