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4개월만에 다시 열리는 中…장하성 “유학생·취업자 등 비자발급 합의”

장하성 주중대사가 27일 특파원 간담회에서 한중 비자 합의를 설명하고 있다. /최수문기자장하성 주중대사가 27일 특파원 간담회에서 한중 비자 합의를 설명하고 있다. /최수문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이 국경을 사실상 봉쇄하면서 한국에서 발이 묶인 우리 유학생과 자영업자 등이 이르면 다음 달 초부터 다시 비자를 받아 중국에 입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하성 주중 한국 대사는 27일 베이징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중국이 유학생과 취업자, 유효한 거류증이 있는 교민 등 3개 그룹에 비자를 발급해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장 대사는 “중국이 최근 우리와 적극적으로 국경 개방을 위해 논의해왔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특정 국가를 상대로 비자 제한을 완화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역유입을 막는 다는 이유로 지난 3월 말부터 체류 비자와 거류허가증을 가진 외국인의 입국도 중단시킨 바 있다.

이번에 비자 발급 대상자는 유학생과 취업자로, 이중 취업자는 주재원과 자영업자 등으로 Z비자 소지자다. 중국내 유효한 거류증이 있는 교민도 적용된다. 다만 비자 신청 시점에 거류증 기한이 만료된 교민은 일단 입국 가능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중 양국은 비자 발급을 놓고 구체적 일정과 방식에 대해 막바지 협의를 진행 중이다. 비자 발급은 이르면 8월 초부터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중국 초중고와 대학에 재학하는 한국인 유학생 약 5만명은 대부분 한국에 머물고 있다. 교민 가운데는 3분의 1가량이 중국으로 복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대사는 중국의 비자 완화 계획에 대해 “한국에서 중국으로 코로나19 환자가 유입된 사례가 없다는 방역 성과가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의미부여했다.

양국 협의에 따라 한국도 중국인에 대해 비슷한 방식으로 비자를 발급하기로 했다.

한중 양국은 비자 발급 외에 항공 노선 증편도 협의하고 있다. 양국은 지난 3월 이후 주당 10회로 급감한 양국 간의 운항 편수를 주당 20회로 늘리기로 이미 합의했는데 추가 증편도 논의하고 있다고 장 대사는 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