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둔촌 주공' 등 2만 가구 분양 안갯속…"가을 공급절벽 온다"[분상제 시행]

재건축·재개발 분양일정 못잡아

서울 물량 9월부터 8분의1 토막

대규모 단지 후분양 잇단 검토도

"1~2년내 신규아파트 크게 줄어

세대간 '청약 갈등' 더 심해질것"




29일부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유예를 거듭해온 분상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분양을 눈앞에 뒀던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와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등 재건축·재개발단지 약 2만가구의 분양 일정이 불투명해졌다. 전문가들은 당장 이번 4·4분기부터 공급절벽이 현실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런 가운데 로또 청약을 둘러싼 세대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분상제 시행으로 줄어든 공급 물량을 놓고 30대와 40대가 더 치열하게 경쟁할 수밖에 없어서다.

28일 서울경제가 부동산114와 함께 분양이 임박했던 서울의 재건축·재개발단지를 분석한 결과 10개 단지 1만9,233가구가 분양 일정을 확정하지 못했다. 올해 3월 기준으로 연내 분양을 계획 중이던 서울의 정비사업단지는 27곳, 분양예정 물량은 3만8,740가구 수준이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난 2007년 민간택지 분상제 시행 이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공급절벽이 나타난 바 있다”며 “이번에도 1~2년 후 신규 아파트 감소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또 당첨을 기대하는 청약 열풍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 분양 물량 9월부터 8분의1로 ‘뚝’ =분상제로 인한 공급 감소는 예상보다 빨리 다가올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분상제를 피해 막차 분양을 하는 단지들이 몰리면서 오는 8월 서울의 분양 예정 물량은 2만488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9월에는 2,548가구로 전달의 8분의1 수준으로 떨어진다. 10월에는 4,231가구로 다소 증가하지만 11월 2,904가구, 12월에는 1,760가구에 불과하다.


특히 분상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후분양을 검토하는 대규모 단지들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예정 물량은 더 줄어들 수 있다. 실제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는 27일,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도 28일 해당 구청에 입주자모집공고 신청을 접수했다. 이 두 단지는 분상제를 피해 선분양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지만 후분양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2007년 민간택지 분상제가 시행되던 당시 2008~2009년 2년간 급격한 공급절벽이 나타난 바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당시 서울 아파트 인허가 건수는 2006년 3만400가구에서 분상제가 시행되던 해 밀어내기 분양이 나타나며 2007년 5만가구로 급증했다. 이후 2008년 2만1,900가구, 2009년 2만6,600가구로 2년간 인허가가 반 토막이 났다.



◇로또 청약 놓고 세대 갈등 더 심화=설상가상으로 로또 청약을 놓고 세대 간 갈등은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도 가점에서 밀린 30대와 가점이 높은 40대가 아파트 청약을 놓고 서로 다투고 있다. 30대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등의 물량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40대는 가점제 물량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분상제로 물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주요 입지에서 지금보다 더 싼 아파트가 나오면 세대 갈등은 더욱 격화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채권입찰제 등 시세차익 환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함 랩장은 “분상제 적용 지역에서 공급된 아파트는 전매제한이 10년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새로 아파트를 지어도 한동안은 새 아파트 품귀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며 “청약 광풍은 물론 이에 따른 세대 간 갈등, 그리고 신축 아파트 가격 상승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