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코로나 이후 대비하는 동남권]"지역경기 살리고 미래 먹거리 창출"...스마트제조 클러스터 박차

부산시

내수 활성화·기업 경영안정 지원 등

경제대응 단계별 전략도 적기 시행

부산시 간부들이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희망일자리사업 추진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 간부들이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희망일자리사업 추진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시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한데 모여 생산 정보를 공유하거나 생산을 연계하는 제조데이터 기반 디지털시스템이 부산에 구축된다. 제조 과정에 사물인터넷(IoT)이나 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여러 중소기업의 제품 품질부터 생산성까지 동시에 끌어올리려는 전략으로,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하나의 스마트공장처럼 움직이게 되는 셈이다. 이는 부산시가 불황과 산업구조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부품업계를 위해 기획한 디지털 뉴딜사업의 하나인 스마트제조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통해 곧 다가올 미래 모습이다. 이 사업은 강서구 국제물류도시 전기차 기업 클러스터 내 중소·중견 부품기업들이 단순 집적화가 아닌 기업의 가치사슬에 기반해 유기적인 연계 협력을 유도하는 게 골자다.

부산시는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제조업 중소·중견기업 간 상생협력 혁신모델을 제시하고 제조데이터 기반 신산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요소기술 국산화 등의 성과를 창출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세계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산시 관계자는 “코렌스EM 부산 상생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20개 안팎의 기업을 대상으로 시범 실증사업을 추진한 후 성과가 검증되면 지역·업종별 기업군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클러스터 구축 뉴딜 사업에서 볼 수 있듯이 부산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려고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침체한 지역경기의 활력을 회복하고 경제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부산시가 신산업을 통해 지역경제 체질을 획기적으로 바꾸려고 발굴한 뉴딜 사업만 30개에 달한다.


이와 함께 최근 수립한 내수경기 활성화, 제조업 경영안정 지원, 코로나 3대 산업 육성 등 경제대응 단계별 전략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단계별 전략을 적기에 시행하면 경기부양 등 실질적 경제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3대 산업 육성 전략의 경우 코로나19로 부상한 비대면, 디지털·스마트, 헬스·방역 산업을 포스트 코로나 대표 신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쇼핑 주문, 배송, 결제시스템이 연계된 공공모바일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가상·증강현실(VR·AR) 콘텐츠 발굴·개발 지원 등을 통해 비대면 산업 기반을 본격 구축하는 한편 기존 블록체인과 함께 중소형 선박의 액화석유가스(LPG) 추진시스템 상용화를 꾀하는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를 기반으로 미래 신산업을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또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방역·위생산업을 육성하고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과 플랫폼 개발, 전·후방산업 기업 지원에도 나선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위기를 극복하려는 일자리 대응 사업도 본격 추진한다. 올해 5월 기준 61.7%로 떨어졌던 고용률의 경우 2022년 65.0%까지 끌어올리고 161만1,000명으로 줄어든 취업자 수도 169만명을 회복하는 것으로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재정 신속 집행, 세제지원 강화, 규제혁신 과제 발굴 및 개혁 등 일자리중심으로 시정을 운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속도를 낸다. 일자리협력 세미나, 일자리 희망페스티벌은 물론 실직자 고용지원 플랫폼 구축, 휴·폐업 실직자 직업훈련 확대, 좋은일터·일자리 발굴 조사, 언택트 산업 전문인력 특화과정, 창업기업 공동 물류플랫폼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고용유지 상생협약을 체결한 1,000여개 기업에 4대 보험료를 지원해 기업 고용유지 역량을 강화하고 서부산권 산업단지에 근로자작업복 공동세탁소를 설치해 영세작업장 근로자의 직원복지를 지원하는 세심한 정책도 함께 진행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한 개의 일자리라도 더 지켜내려고 민간 고용유지 지원과 공공일자리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할 것”이라며 “정부의 한국판 뉴딜사업 추진과 연계한 미래노동시장 대비 핵심인력 양성, 신산업 선도 플랫폼 일자리 확대, 투자지원제도 정비·개선, 창업생태계 강화 등 신산업을 중심의 미래 일자리 창출도 역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