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로 국내 경제도 전례 없는 위기에 봉착했다. 올 2·4분기 경제성장률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최악인 -3.3%를 기록하면서 연간 마이너스 성장률이 기정사실이 됐다. 코로나19 사태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수출을 주력으로 삼아 온 동남권 지역 경제도 몸살을 앓고 있다. 당장은 위축된 경기로 인해 생계절벽에 놓인 근로자와 소상공인, 기업을 위한 버팀목이 돼야 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 빠른 경기반등을 이뤄내기 위한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코로나19가 한창인 지금이 아니면 준비할 수 없다. 늘 추격형에 안주했던 한국경제는 이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앞서 가기 위한 선도형 경제 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민선 7기 후반기를 맞은 동남권 지방정부들은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위한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과 궤를 같이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다양한 정책 추진에 나서고 있다.
울산시는 한국판 뉴딜 발표에 앞서 지난 4월 ‘울산형 뉴딜’ 정책을 발표하며 일찌감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에 나섰다. 울산시는 기존에 시가 계획했던 모든 사업을 포스트 코로나에 초점을 맞춰 재해석했다. 이렇게 만든 것이 휴먼·스마트·그린 뉴딜 등 3대 분야 15개 과제다. 대표적인 사업은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으로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에 따른 해상풍력 분야 목표인 12기가와트(GW)의 50%를 담당할 계획이다.
세계적인 수소 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도 차츰 현실화하고 있다. 수소 시범도시를 만들어 생활 전반에 걸친 에너지 변화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수소전기자동차와 수소 선박, 수소 트램, 수소 무인운반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어 세계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의 전통 제조산업인 자동차와 조선, 화학에 수소를 더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산업구조를 만들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계획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부산시도 직격탄을 맞았다. 초기 피해는 소상공인과 관광업 등 서비스업 중심이었다면 제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5월 기준으로 부산지역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이 66.9%로 나타나 3개월 연속 70%를 밑돌 만큼 큰 타격을 입었다. 피해는 고용률 하락과 실업률 증가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산시는 그동안 수많은 위기를 헤쳐온 저력을 토대로 소비, 생산, 고용 등 3대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 구체화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대응책으로는 미래일자리 창출 기반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비대면 산업과 핀테크, 블록체인 등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규제자유특구 등 미래신산업 육성 플랫폼을 구축한다. 창업기업과 예비창업자들의 비대면 투자유치 기업설명(IR) 서비스를 위한 비대면 벤처투자 플랫폼과 창업기업 공동 물류플랫폼을 조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대규모 투자, 지식·첨단산업, 기술 연구개발 투자기업의 보조금 투자 인센티브도 신설·확대한다. 정부의 뉴딜정책에 보조를 맞춰 경제 체질도 변화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지난 4월 코로나19 사태 이후 닥쳐올 대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분과별로 활발한 논의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 방향을 모색해 왔다. 워킹그룹은 즉시 시행이 필요한 단기 과제와 중장기적 과제를 구분해 제시했다. 경남도는 워킹그룹이 최종 제안한 내용에 대해 구체적 실행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큰 방향은 김경수 경남지사가 그동안 강조해 온 ‘격차 해소’에 맞춰져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득·지역 격차를 축소하고 균형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경남의 뉴딜 정책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지역 격차 축소를 위한 균형발전 전략으로 ‘동남권 메가시티’를 계획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부산·울산·창원=조원진·장지승·황상욱기자 jj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