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19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0.4% 증가했다. 2016년(3.9%) 이후 3년 만에 소폭 증가로 전환한 것이다.
북한 경제는 2011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1.0%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다가 2015년 -1.1%로 마이너스 성장을 한 뒤 2016년 3.9%로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2016년부터 본격화된 대북제재로 2017년(-3.5%)과 2018년(-4.1%) 2년 연속 역성장하면서 경제 상황이 어려워졌다. 다만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국경 봉쇄 등이 이뤄지면서 북한 경제 상황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반짝 회복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성장률을 산업별로 살펴보면 먼저 농림어업이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폭염·가뭄·태풍 등이 닥쳤던 2018년 대비 기상여건이 개선되면서 농수산물 생산이 늘었다. 건설업도 관광지구 개발과 함께 화력발전을 늘리면서 발전소 공사 중심으로 2.9% 증가했다. 반면 석탄 증가에도 금속 및 비금속이 줄면서 광업은 0.7% 감소했다. 제조업도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1.1% 줄었다.
지난해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는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전년보다 14.1% 증가한 32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수출은 2억8,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4.4% 늘었다. 시계 및 부분품(57.9%), 신발·모자·가발(43%) 등이 주로 수출됐다. 수입 역시 석유제품, 플라스틱·고무, 식물성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한 29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북한의 대외교역 대부분은 중국과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 GNI)은 35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했다. 한국(1,935조7,000억원)의 54분의 1(1.8%) 수준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140만8,000원으로 한국(3,743만5,000원)의 27분의 1(3.8%) 수준에 그쳤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소득총괄팀장은 “북한 중화학공업 중 조립금속 및 기계 등의 감소폭이 축소됐는데 외화 획득을 위해 제재를 받지 않으면서 할 수 있는 시계 등 업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파악했다”며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봉쇄로 중국과의 교역이 축소돼 북한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