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처리장치(GPU) 1위 업체인 엔비디아가 반도체 설계전문(팹리스) 업체 1위인 영국 ARM을 인수한다는 소식에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가 또다시 요동치고 있다. ARM은 삼성전자(005930)·퀄컴·애플·하이실리콘(화웨이 자회사) 등에 모바일용 반도체의 기초 설계도라 할 수 있는 명령어아키텍처(ISA)를 판매해 수익을 내며 스마트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의 90% 이상이 ARM의 ISA에 기반을 두고 있다. 다만 엔비디아가 ARM 인수를 시도할 경우 독과점 우려로 각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다 매각가가 최소 연 매출의 20배 이상 될 것이라는 점은 매각에 걸림돌이다.
ARM 인수후보로 거론됐던 삼성전자로서는 엔비디아의 ARM 인수 시 다양한 경우의 수를 점검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 AP 설계도의 ARM 의존도가 높기는 하지만 삼성전자가 엔비디아나 ARM에는 무시할 수 없는 고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최악의 경우 기존 ARM의 특허를 활용하지 않은 독자 반도체 설계에 나서거나 외부 AP 조달 등으로 대응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는다.
2일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소프트뱅크와 ARM 인수를 놓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ARM 매각작업은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가 지난해 9,615억엔(약 11조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자금 사정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ARM 지분은 소프트뱅크가 75%, 소프트뱅크 자회사인 비전펀드가 25%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 2016년 320억달러를 들여 ARM을 인수했으며 당시에도 연 매출의 18배가량 되는 몸값을 지불해 “거품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엔비디아는 GPU를 병렬로 배치해 연산처리 능력을 극대화한 ‘GPGPU’ 기술 보급 확대 이후 글로벌 인공지능(AI)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의 절대 강자인 인텔의 시가총액을 넘어서며 정보기술(IT) 생태계를 이끌고 있다. 엔비디아가 ARM 인수로 CPU 기술까지 확보할 경우 AI 등 미래 반도체 시장 경쟁에서 보다 앞서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ARM은 반도체 설계 명령어를 여타 CPU 업체보다 단순화한 저전력 반도체 설계 기술로 스마트폰 시장 도래 이후 모바일용 반도체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엔비디아가 ARM 인수에 성공하면 관련 특허를 폐쇄적으로 운영하거나 특허료를 높게 받는 등의 정책을 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 때문에 이번 거래가 성사될 경우 오는 2030년 시스템반도체 부문 1위를 목표로 ‘엑시노스’ 같은 모바일 AP 경쟁력 강화에 힘을 쏟고 있는 삼성전자로서는 로드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모바일용 CPU 자체 개발 프로젝트인 ‘몽구스’를 중단하고 ARM 기반 CPU 개발로 전략을 선회했으며 모바일용 GPU는 엔비디아의 경쟁사인 AMD와 손잡고 기술고도화에 매진하고 있다.
다만 삼성전자로서는 오픈소스 기반의 반도체 설계구조인 ‘RISC-V(5)’를 활용해 자체 AP 제작에 나서거나 최악의 경우 타사 AP를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는 RISC-V를 활용해 5세대(5G) 통신칩(RFIC)을 개발한 경험이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종합반도체업체(IDM)인 삼성전자를 비롯한 여타 팹리스들은 지금껏 합리적인 가격에 ARM의 특허를 이용할 수 있어 ARM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AP 생태계 유지가 가능했다”며 “보안이나 각종 버그 수정 등의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RISC-V 진영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ARM 인수 이후 ‘특허 갑질’에 나설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업계에서는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성사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ARM의 지난해 매출(18억9,800만달러) 대비 4년 전 인수가(320억달러)가 지나치게 높은데다 2018년 퀄컴의 NXP 인수 시도가 중국 당국의 불허로 실패했듯이 각국 정부의 독과점 견제를 넘어서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