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오삼일 과장과 이상아 조사역이 발표한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단기적으로 실직위험에 크게 노출되는 비필수·비재택근무 일자리 비중은 35%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자 3명 중 1명은 정부가 봉쇄조치를 할 경우 작업환경 제약으로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산업별·직업별 특성에 따라 코로나19에 취약한 일자리를 비필수, 비재택, 고대면 등 3가지로 분류했다. 숙박·음식, 부동산, 예술·스포츠 등 비필수 산업 일자리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로 집계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더라도 집에서 일하기 어려운 농림어업, 숙박·음식, 운수·창고 등 비재택 비중은 74%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면접촉도가 높아 감염병 확산 매개가 될 수 있어 고용이 더디게 회복되는 고대면 취업자는 55%로 추산했다.
비필수이면서 비재택을 동시에 충족하는 음식서비스, 매장판매직 등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엄격하게 시행될수록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출퇴근이나 영업이 어려운데 재택근무도 할 수 없어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는 것이다. 대면접촉이 많으면서도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장기적으로 실업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음식 및 미용 서비스 종사자는 대면접촉도가 높고 재택근무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용회복에 오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이같은 고용 충격이 저소득, 저학력, 청년, 여성, 임시·일용직, 자영업자, 고용보험 미가입자 등 고용 취약 계층으로 분류되는 집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고졸 이하 저학력자가 비필수, 비재택, 고대면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은 대졸 이상 고학력자에 비해 7~24%포인트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확산이 진행된 올해 3~6월 취업자 수 감소 역시 취약 일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3~6월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한 비필수, 비재택, 고대면 일자리의 기여율은 각각 106%, 77%, 107% 수준을 기록했다. 취업자가 100명 줄었다면 비필수 일자리 종사자가 106명 감소한 동시에 필수 일자리 종사자가 6명 늘었다는 의미다.
오삼일 과장은 “취약 계층에서 고용취약성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고용상황 악화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산업별·직업별 고용재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