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UNIST·부경대·조선대 공동연구팀, 리튬금속전지 시스템 개발 본격 착수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받아 … 재료부터 전지 시스템까지 융합 연구

양산형 리튬금속전지 연구에 착수한 공동연구팀. /사진제공=UNIST양산형 리튬금속전지 연구에 착수한 공동연구팀. /사진제공=UNIST



전기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2배 이상 향상시킬 리튬금속전지 연구가 본격화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부경대학교, 조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6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신규과제로 선정됐으며, 8월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정경민, 최남순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와 오필건 부경대학교 인쇄정보공학과 교수, 손윤국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향후 2년간 10억원을 지원받아 리튬금속전지 시스템을 위한 전극 설계와 소재 기술 개발에 나선다.


리튬금속전지는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전지로,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 전기차용 차세대 고용량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양산 가능한 리튬금속전지를 개발,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에너지 용량은 더 큰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연구책임자인 정경민 교수는 “현재 국내 배터리 생산기반과 제조기술을 가능한 그대로 이용하면서 고용량 배터리를 양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배터리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데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는 연구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리튬금속전지 상용화를 위한 새로운 재료 개발에서부터, 촉매물질, 전해액, 전극기술과 전지 시스템까지 배터리 개발 전 과정에 걸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연구팀에는 각 분야를 담당할 전문가들이 함께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UNIST에서의 연구경험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경민 교수는 “이번 공동연구는 이차전지 연구에 최적화된 UNIST의 연구 환경과 인재육성 시스템이 있었기에 시작될 수 있었다”며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실용적 융합연구 전통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미래를 바꿀 차세대 전지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