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70%가 60대 이상인데...광화문 집회 관련 확진자 50명 넘어(종합)

19일 12시기준 집회 관련 확진자 53명...교회 연관 33명

사랑제일교회 관련 630명 확진...추가 환자 발생 시설 11곳

의료계 예정된 파업에 강경대응..."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

1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지방경찰청 기동본부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지난 광복절 도심 집회에 투입됐던 경찰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오승현기자 2020.08.191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지방경찰청 기동본부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지난 광복절 도심 집회에 투입됐던 경찰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오승현기자 2020.08.19



지난 15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와 관련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확진된 사람이 50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중 70%에 달하는 이들이 60대 이상의 고령자인 데다 확진자가 전국에 분포하고 있어 정부는 피해가 심각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오는 21일부터 예정된 의료계 파업에 대해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강경 대응할 의사를 내비쳤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15일 광화문집회와 관련해 전날 낮 12시 기준으로 총 53명의 확진자가 확인됐다”면서 “사랑제일교회 관련 확진자가 33명이고 이외 집회 장소에 체류한 것으로 확인된 사람이 20명”이라고 밝혔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어 “이들 환자가 총 9개의 시·도 지역에 걸쳐 전국적으로 분포되고 있다는 점, 또 60대 이상의 고위험군 비율이 약 70%에 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집회 당시 광화문 인근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해 참석자를 확인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행사 주최 측에 집회 참석자 정보를 요청하는 한편 집회 장소로 모인 전세버스의 탑승 명단을 확보하려고 하는 등 다각적으로 참석자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런 상황을 언급하면서 “본인 스스로와 가족, 친지의 안전을 위해 신속한 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사랑제일교회 방문자들과 서울 집회 참석자들은 즉시 가까운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아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정부는 사랑제일교회와 관련해 전날 오후 6시 기준으로 총 3,263명을 검사한 결과 확진자가 62명 추가돼 총 630명(양성률 19.3%)이 됐다고 밝혔다. 사랑제일교회와 관련해 추가 환자가 발생한 시설은 11곳이고 확진자 근무지를 포함하면 총 114곳에 이른다. 하지만 현재 이 교회와 관련한 역학조사는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김 총괄조정관은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교인과 교회 방문자 명단을 추가로 확보하고 있으나 연락처가 확인되지 않거나 검사를 거부하는 등 확인이 되지 않고 있는 사람이 약 700여 명”이라며 “경찰, 이동통신사 등의 협조를 통해 연락처를 확보하고 이들에게 신속히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병상 부족 우려에 따라 병상 배정 기준도 재정비한다. 김 총괄조정관은 “무증상이거나 경증인 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것을 원칙으로 확립해 병상의 과잉사용을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병상과 치료센터도 꾸준히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그는 “중증환자 치료 병상을 추가로 50여개 확충하고 감염병전담병원 병상도 260여개 추가 확보키로 했다”며 “생활치료센터의 경우 어제 태릉선수촌을 개소했고, 경기도 교육연수원 등 추가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 입소자의 경우 2인 1실 사용을 적용해 경증환자의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9일 오후 서울 중구 세종대로 135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보건복지부-대한의사협회 긴급 간담회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참석해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2020.08.1919일 오후 서울 중구 세종대로 135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보건복지부-대한의사협회 긴급 간담회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참석해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2020.08.19


한편 정부는 오는 21일과 26~28일 파업을 예고한 대한의사협회 등에 대해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행동 강행 시 법과 원칙에 따라 강경 대응할 의사를 내비쳤다.

김 총괄조정관은 “엄중한 상황 속 집단행동을 강행한다면 정부도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 이외에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엄중한 상황 속에서 국민들을 위한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집단휴진을 중단하고, 대화와 협의를 이어갈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전날 결렬된 의료계와 정부와의 협상이 끝난 후 의료계에서 제기됐던 태도 문제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회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협의 과정 내내 의료계에서는 의대 정원 증원과 공공의대 신설을 철회하고 한방첩약 급여화는 폐기를 먼저 해야 대화 협의에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실 더 이상 논의가 진전되지 않아 협의가 별 진전 없이 끝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전공의의 집단 휴진은 환자의 희생 외 자기 희생이 동반되지 않는다”며 “이러한 방식은 국민적인 동의를 얻기 어려운 극단적인 투쟁방식이라 지적했다”고 덧붙였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