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사 10명중 8명 “원격수업이 대면수업보다 교육 효과 떨어져”

전교조 “학급당 학생 수 줄이고 대면학습 늘려야”




교사 10명 가운데 8명은 비대면 원격수업이 대면수업보다 비효율적으로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이달 5∼14일 전국 초·중·고교 교사 4,0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매우 낮다’ 32.0%, ‘낮다’ 51.0% 등 응답자의 83.0%가 대면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의 교육적 효과가 낮다고 답했다고 21일 밝혔다.


원격수업을 하면서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문제점으로는 ‘학습 격차 심화’(61.8%)를 꼽은 교사가 많았고 ‘피드백의 어려움’(53.6%)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학습 격차의 가장 큰 원인은 ‘가정환경의 차이’(72.3%), ‘학습동기의 차이’(50.6%)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 격차를 줄일 방안에 대해서는 ‘학급당 학생 수 감축’(55.8%)과 ‘대면수업 확대’(48.5%)를 꼽은 교사들이 많았다.

관련기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등교수업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마스크 착용 수업의 피로감’(60.9%)과 ‘거리두기로 인한 수업 제약’(53.5%)을 꼽은 교사가 많았다.

방역이 가능한 학급당 학생 수로 ‘20명 이하’를 택한 교사가 97.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 76.1%와 특수교사 89.5%는 ‘15명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행정업무가 적절하게 감축됐는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2.0%만이 동의했다.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 시급히 추진할 정책으로는 ‘수업일수, 수업시수 등의 과감한 감축’(63.3%),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을 위한 교원증원’(48.1%)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전교조는 “원격수업으로 인한 학습 격차와 출결 관리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이 필요하다”며 “행정업무를 줄이고 교육과정 편성과 평가에 관한 학교의 자율성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