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대해 23일 무기한 파업에 돌입하면서 의료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인턴과 4년차 레지던트, 22일 3년차 레지던트에 이어 이날 1년차와 2년차 레지던트까지 파업에 참여했다. 응급의학과는 병원에 따라 상황은 다르지만 이미 21일부터 모든 업무를 중단했다.
전공의들의 업무를 분담하던 임상강사와 펠로 등 전임의들도 오는 24일부터 단체행동을 예고했다. 대한전임의협의회는 26일 전국의 모든 병원에서 전임의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 역시 봉직의들의 ‘투쟁’을 공식화했다. 봉직의는 의료기관에 고용된 의사를 일컫는 말로, 의사 직역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예비 의사들인 전국 의과대학 학생들은 국가의사시험 거부, 동맹 휴학 등으로 의사 표시를 진행 중이다. 국시 거부로 인해 내년 초 3,000여명의 신규 의사가 배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주요 병원은 전공의 파업에 따라 수술과 진료, 당직 일정 등을 조정하고 예약을 줄이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진료 차질은 불가피하다. 특히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교수급 의료진만 남아 수술과 진료, 당직 등을 모두 소화해야 하는 상황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의협과 대전협 등이 국내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는 만큼 우려할 만한 대란은 벌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지난번 단체행동 동안 분만, 응급, 중환자 치료 등의 필수적인 기능은 그대로 유지됐다”며 “필수의료 유지의 원칙은 앞으로의 단체행동에서도 지켜나갈 것”이라고 공언했다. 대전협 역시 “단체행동 중에도 코로나 방역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며 “선별진료소 등 방역 인력이 필요한 곳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